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오는 15일부터 9월18일까지 경복궁 내 건청궁을 특별 개방하고 당시의 궁중 생활상을 볼 수 있는 전시회도 함께 개최한다고 밝혔다.
1873년에 사대부 주택 양식으로 건립된 건청궁은 1887년 대한민국 최초로 전기를 생산해 전등을 밝힌 곳이다. 1885년부터 1896년까지 고종과 명성황후의 생활공간이자 조선의 여러 정책이 결정되는 중요한 장소로 사용됐으며, 명성황후가 일본군에 의해 시해된 을미사변이 일어난 장소이기도 하다. 이후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며 건청궁은 1907~1909년 사이에 철거됐고 이후 문화재청은 2006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을 완료했다.
이번 특별개방 전시에서는 고종의 처소였던 장안당을 왕의 집무실과 생활실로, 명성황후의 처소였던 곤녕합을 왕비의 알현실, 생활실, 궁녀 생활실로 조성하여 선보이며, 각 실에서는 용상, 용교의, 문갑, 경대 등 당시의 생활상을 재현한 유물들도 관람할 수 있다. 특히 장안당 서쪽의 누각인 추수부용루의 창호를 열어두어 향원정이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경관과 함께 사진 촬영도 할 수 있다.
특별 개방 기간 동안 누구나 무료(경복궁 입장료 별도)로 관람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 건청궁 특별개방 및 전시를 통해 경복궁을 찾는 국내외 관람객들이 아름다운 우리 궁궐을 다채롭게 이해하고 체험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궁궐 속 전각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문화재청, 새만금잼버리 참가자에 문화유산 체험 지원
- 경복궁·창경궁, 촉각으로 관람…시각장애인용 해설 운영
- 경복궁·창덕궁 야경, 집에서 다과와 함께 즐긴다
- ‘경희궁 이야기돌’과 함께 역사 산책 떠나요
- 왕으로 살아남은 적장자…경복궁서 듣는 조선 왕실 이야기
- 광화문 앞 공간, 조선 전기부터 활용…유물 추가 발굴
- 문화재청-서울관광재단, 장애인 관람환경 조성 위한 MOU
- 45개국 재한외국인 201명, K-관광 전 세계에 알린다
- 궁중음식도 먹고 다식도 만들고…경복궁 ‘수라간 시식공감’
- 풍류에 그루브와 힙을 더하다…경복궁·덕수궁 고궁음악회
- 세계유산 조선왕릉으로 여행 떠나요
- 청와대를 K-관광 랜드마크로…도보 관광코스 10선 공개
- ‘궁패스’로 5대궁 무제한 관람…‘궁중문화축전’ 29일 개막
- 경복궁서 즐기는 봄밤의 정취…‘별빛야행’ 7일 예매 시작
- ‘고종의 서재’ 집옥재 개방…경복궁·덕수궁, 봄맞이 문화 행사
- 궁중 새내기 되어 시간여행 떠나볼까
- 만 18세 이하 외국인, 4월부터 궁·능 무료관람
- 100년 전 대한제국 수교국 후예들, 덕수궁 홍보대사 된다
- 청사초롱 들고 궁궐 밤산책…‘창덕궁 달빛기행’ 9월 시작
- 천마총·신라문화유산, 토크콘서트로 만난다
- 문화재청, 어린이 대상 ‘석조전에서 만난 세계’ 운영
- 경복궁에서 즐기는 가을밤 정취···9월1일부터 야간 관람
- 문화재청, ‘경복궁 별빛야행’ 사전예약 추첨제 첫 도입
- 문화재청, 청각장애인 맞춤형 ‘경복궁 문화탐방’ 개최
- 국악·발레·재즈의 융합 공연, 경복궁에서 만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