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어 경관적 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인 ‘연천 재인폭포’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한다고 13일 밝혔다.
‘연천 재인폭포’는 용암이 식으면서 생긴 원형의 검은 현무암 주상절리와 절벽 아래 떨어지는 시원한 물줄기, 협곡을 지나 한탄강으로 이르는 지형이 조화되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특히 재인폭포라는 명칭은 줄을 타는 광대 재인(고려·조선시대에 재주를 넘는 등 광대 일을 하던 사람)과 부인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져 흥미를 자아낸다.
재인폭포는 빼어난 경관뿐 아니라 신생대에 용암이 굳어져 생성된 현무암이 침식되어 만들어진 주상절리, 하식애(河蝕崖) 등 다양한 지질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20년 유네스코 한탄강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됐다.
또한 땅바닥이 패여 물이 고인 곳을 일컫는 폭포의 소(沼)에는 천연기념물 어름치, 멸종위기 야생생물 돌상어 등이 서식하고 그 주변으로 수리부엉이, 수달, 산양 등 다양한 천연기념물이 지속 관찰되는 등 생태적으로도 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연천 재인폭포’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두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콩쿠르 넘어 세계 무대로…문체부, K-클래식 발전 방안 모색
- 예술의전당-서울문화재단, 문화예술 교류 위한 MOU
- 농악부터 탈춤까지…‘대한민국 전통연희축제’ 7월 개최
- 비석의 용·거북, 어린이용 문화유산 학습콘텐츠로 재탄생
- 용인 보라동 등산로서 백제 한성기 고분 발견
- 해양문화유산 전문가 한자리에…태안 연구 주제 토론회
-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된다
- 전남 해남서 고선박 추정 목선 발견…발굴조사 착수
- 단청·민화·목가구·창호…서울시무형문화재 장인전
- 고수환·조준석·표태선 씨,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된다
- 동구릉 ‘비밀의 정원’ 열린다…17일 특별 개방
- “서울시민 문화활동 회복세…문화비 지출 평균 10만원”
- 왕으로 살아남은 적장자…경복궁서 듣는 조선 왕실 이야기
- 집으로 배송되는 문화유산 도서, 신규 1만4000권 공개
- 문화유산 수리 현장 공개…서산 해미읍성 등 14곳
- 광화문 앞 공간, 조선 전기부터 활용…유물 추가 발굴
- 앙코르 유적, 韓 미륵사지 석탑 보수정비 기술로 복원
- 고분 하나에 매장시설 여럿 안치…마한 매장전통 확인
- 도심 속 왕릉에서 문화 체험 즐기세요…‘소락행’ 개최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익산 미륵산성서 방어용 시설·석축 저수조 발견
- 불교 혁신운동 거점 ‘강진 백련사 대웅보전’ 보물 지정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건강히 자라다오”…멸종위기 어름치 1천마리 금강에 방류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도전
- ‘한지, 전통지식과 기술’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추진
- 유네스코 무형유산협약 20주년 국제회의, 서울서 개최
- ‘韓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신청 대상 선정
- 부안 위도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장에 홍창남 씨
- 유네스코 신규 세계유산에 가야고분군 등 42건 등재
- 부안 위도 진리 대월습곡, 천연기념물 됐다
-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상주 안수사명 동종’ 등 6건, 부산시 지정문화재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