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등산로로 이용되던 경기도 용인 보라동 산에서 백제 한성기 흔적이 남아 있는 고분이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사)한국문화유산협회와 ‘용인 보라동 산 62-2번지 백제고분 유적’을 발굴조사한 결과 5기의 백제 돌덧널무덤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용인 보라동 산 62-2번지 백제고분 유적’은 보라산 북쪽 능선 북서 사면의 해발 155m 내외의 선상에 위치한다. 보라산에서는 그동안 용인 공시레 유적, 용인 공세동 산38번지 유적 등 백제 한성기 고분들이 확인된 바 있다.

무덤들은 대부분 능선의 등고선과 직각을 이루며 교차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었으며, 깨진 돌과 자연돌을 활용해 무덤 전체를 벽으로 둘러쌓는 방식과 머리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돌을 쌓는 등 두 가지 방식이 확인됐다.

2호 돌덧널무덤에서는 가락바퀴와 구슬이, 4호에서는 곧은입항아리, 짧은목항아리, 굽다리항아리 등 토기류와 함께 창·도끼·화살촉 등 철기류가 함께 출토됐으며, 5호에서는 곧은입·짧은목항아리, 큰항아리, 가락바퀴, 구슬 등이 출토됐다. 유물의 제작 시기는 대략 4세기 이후인 백제 한성기로 확인된다.

발굴 당시 유적 일대는 무덤의 일부가 지표에 노출된 상태로 20여 년간 운동기구 등 체육시설이 설치되고, 등산로로 이용돼 온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재청은 오는 8일과 9일 발굴조사 현장을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