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이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고수환, 조준석, 표태선 씨를 인정 예고했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의 3개 핵심 기·예능으로 나뉘어진다. 현재 우리나라 국악기는 약 60~70종으로, 가야금과 거문고가 가장 대표적이다.
문화재청은 ‘악기장’ 현악기 제작 보유자 인정을 위해 지난해 공모 후 서면심사를 거쳐 올해 4월 현장조사를 실시, 현악기 제작의 핵심 기능인 울림통 제작, 줄 꼬기, 줄 걸기 등의 기량을 확인했다. 완성된 악기를 국악원에서 국악인이 직접 연주해 그 소리의 우수성도 별도로 평가했다.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고수환, 조준석, 표태선씨 모두 지금까지 시도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된 장인이다. 고수환 씨는 국가무형문화재 현악기 제작 보유자였던 고(故) 이영수씨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 받아 48년 동안 현악기 제작 기술을 연마했고, 조준석 씨와 표태선 씨도 45년 이상 현악기 제작 기술을 연마하는 등 모두 해당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해오고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는 북 제작 3인, 현악기 제작 1인, 편종·편경 제작 1인으로 총 5명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고수환, 조준석, 표태선 씨에 대해 30일 이상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서울공예박물관, 근현대 나전칠공예 희귀자료 최초 공개
- 무형문화재 ‘고성농요’ 김석명, 명예보유자 인정
- 도자부터 서예까지…전통문화대 박물관, 기증품 특별전
- 문체부, 장애예술인 공예품 판매 공간 마련
- 옻나무는 어떻게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가 되었나
- 윷놀이·해녀 등 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지원 사업 선정
- 고궁박물관, 식문화 연구 위해 궁중음식문화재단과 맞손
- 무형문화재 명창들 한자리에…국악방송, 봄맞이 무료 음악회
- 강령탈춤부터 서도소리까지…봄맞이 무형문화재 공개행사
- 새별오름서 소원성취 하세요…제주들불축제, 내달 9~12일 '활활'
- 전남 해남서 고선박 추정 목선 발견…발굴조사 착수
- 해양문화유산 전문가 한자리에…태안 연구 주제 토론회
- 용인 보라동 등산로서 백제 한성기 고분 발견
- 비석의 용·거북, 어린이용 문화유산 학습콘텐츠로 재탄생
- 용암이 만들어낸 ‘연천 재인폭포’, 국가지정문화재 된다
- 문화재청, 군산에 수중고고학 인력 양성기관 건립 추진
- 조선왕조 의례문화 담긴 ‘어보·어책·교명’ 보물 지정
- 경주 흥륜사 인근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국악 실내악의 과거와 미래…돈화문국악당 ‘실내악축제’
- 여름밤 즐기는 망혼일 축제…남산국악당 ‘기담야행2’
- ‘프랑스인 소리꾼’ 마포 로르가 들려주는 판소리의 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