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서울공예박물관
사진 제공=서울공예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이 공예 애호가를 위한 마스터클래스(Master Class)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올해 처음 선보이는 ‘공예 마스터클래스’는 미래의 한국공예를 이끌 주역인 공예 전공자, 애호가들이 공예문화계의 권위자 및 석학과 소통하며 견문을 넓힐 수 있는 심화강좌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서울공예박물관 공예도서실 저자강연회 프로그램을 겸해 기획됐다. 향후 국내 공예계 권위자뿐만 아니라 인접학문이나 해외의 석학들로 시야를 넓혀 국내외 권위자와의 소통의 장을 꾸릴 계획이다.

첫 수업은 미술사학자인 방병선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가 ‘한국 도자 제작 기술사’라는 주제로 지난 10일 포문을 열었다. 최근 출간한 ‘한국도자제작기술사’에 엮은 한국 도자 제작을 둘러싼 미스터리와 그 발전의 역사를 전했다. 또한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별 도자의 특징, 제작 기술과 후원 제도의 변화, 도공의 역할 등을 살펴보고 더불어 중국과 일본 등 외부 기술을 받아들여 ‘한국화하는’ 과정과 앞으로의 전망을 과학 기술의 관점에서 들려줄 예정이다.

방병선 교수는 “‘우리 것은 좋은 것이다’라는 막연히 관대했던 생각에서 나아가, 객관적 사료와 통시적 관점에서 한국 도자의 탄생과 성장, 그리고 현재적 고민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이 되기 바란다”고 밝혔다. 강연은 17일과 24일 총 3회로 진행된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전문 공예지식 강좌를 기획가면서 가졌던 우려가 무색할 만큼, 이번 ‘공예 마스터클래스’에 대한 호평이 이어져 심화강좌에 대한 갈증을 새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서울공예박물관은 한국 공예를 이끌어갈 미래의 주역이자 공예인재양성을 위한 조력자가 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키워드
#공예 #박물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