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공예박물관이 그동안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근현대 나전칠공예의 희귀자료를 공개하는 특별 전시 ‘나전장의 도안실’을 오는 16일부터 7월23일까지 개최한다.
나전칠공예란 얇게 간 조개껍데기를 여러 형태로 오려 옻칠한 기물이나 가구의 표면에 감입시켜 꾸미는 공예를 말한다. 이번 전시는 기존의 나전칠공예 전시와는 달리 ‘그림으로 보는 나전’을 주제로, 나전작품이나 가구를 제작하기 위한 설계도 역할을 했던 ‘나전도안’을 중심으로 전시한다.
우리나라 근현대 나전칠기를 대표하는 장인 6인의 작품 60여건과 도안 360여점을 소개하는 대규모 전시로, 그 중 40여건의 작품과 270여 점의 도안은 최초로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다.
특히 우리나라 나전칠공예 무형문화재들의 스승격인 ▲김봉룡 ▲송주안 ▲심부길 ▲민종태 ▲김태희를 비롯해 1900년대 초 나전칠 분야에 ‘근대적 도안’의 도입과 ‘공업용 실톱’의 확산을 주도하며 나전칠공예의 근대화를 이끌었던 수곡 전성규의 작품들을 집중 조명한다.
그중에서도 전성규의 ‘나전칠 산수문 탁자’가 이번 전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 작품은 1937년 제16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해 입선한 작품으로, 이 작품과 동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사한 문양의 탁자 두 점을 더해 총 3점을 한자리에서 선보인다.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은 “장인들이 평생에 걸쳐 작업한 수많은 나전도안을 한 점 한 점 감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1900년부터 이어져 온 우리 근현대 나전칠공예의 역사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기획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고려시대부터 세계적인 명품으로 알려진 우리의 나전칠공예를 깊이 이해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K-컬처 유럽 전진기지…스웨덴·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개원
- “보물 ‘자수가사’ 보러 오세요”…40년 만에 공개
-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 위한 ‘토끼와 호랑이’ 체험 전시
- 박물관 보고 선물도 받고…6개 기관 ‘스탬프 투어’
- 한국도자재단, ‘행복한 공예 교육’ 수혜 기관 모집
- 도자부터 서예까지…전통문화대 박물관, 기증품 특별전
- 문체부, 장애예술인 공예품 판매 공간 마련
- 미리 보는 도자기 트렌드…경기도자페어 특별관 개최
- 연령‧성별‧국적‧장애 경계 잇는 ‘공공디자인’ 찾아요
- 한국도자재단, ‘프랑스 메종&오브제’ 전시 참여 작가 모집
- 옻나무는 어떻게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가 되었나
- 전통문화대, 부여군과 함께 청년 공예인 키운다
- 한복 전시부터 모란 심기 체험까지…창경궁 문화행사
- 문체부, 장애예술인 창작물 ‘3% 우선구매 제도’ 시행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벽돌에 담긴 백제의 美…인천공항서 ‘문양전’ 특별 전시
- 문화재청, 국보‧보물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전시부터 체험·강연까지…‘공예주간’ 19~28일 개최
- 전시부터 축제까지…‘다시, 향교로를 걷다’ 미디어展
- 도난당한 불교 문화유산, 제자리로…문화재청, 조계종에 반환
- 한성백제박물관·롯데월드 등 ‘송파구 문화기관 협의회’ 설립
- 강화 ‘하점면 사직골 고택’, 시 등록문화재 등록
- 서울역사박물관-서울시향, 26일 ‘뮤지엄 콘서트’ 개최
- 한성백제박물관, 한국현대중국연구회와 MOU 체결
- 고수환·조준석·표태선 씨,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된다
- 국립중앙박물관, 청년세대 아이디어 공모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