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2024 한글주간' 홍보 포스터.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2024 한글주간' 홍보 포스터.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10월 9일 제578돌 한글날을 기념해 오는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전국 각지에서 '괜찮아?! 한글'을 주제로 한글 보존과 기념을 위한 '2024 한글주간' 행사를 연다고 30일 밝혔다.

올해 행사는 무분별한 외국어 남용, 과도한 줄임말 등 한글이 홀대받는 실태를 돌아보고 한글이 갖는 의미를 되새기기 위한 취지로 진행된다.

오는 10월 4일에는 서울 종로구 경복궁에서 국립국어원과 KBS가 공동 주최하며 국어문화원연합회과 주관하는 전 국민 받아쓰기 대회가 처음으로 열린다. 대회는 권역별 예선 통과자 120명과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참가자 등 특별 참가자 10명을 포함해 총 130명이 참여하며, 으뜸상 1명과 버금상 2명 등 총 8명을 시상할 예정이다.

같은 날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2024 한글주간' 개막식은 한글 및 국어 관련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전문 성악가와 지역 합창단의 순우리말 공연 △전 세계 세종학당 졸업·재학생, 유명 콘텐츠 창작자의 축하 영상 △제43회 세종문학상 시상식 등을 연다.

세종문화상은 1982년 세종대왕의 위업과 창조정신을 계승하고 문화창달을 장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문체부는 현재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을 공식 정부 기념일로 추진 중이며, 내년부터 세종문화상을 5월 15일에 시상할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가상 한글 서당 체험 △뮤지컬 '이 도' △한글 패션쇼 △인형극 '한글과 세종대왕' △뮤지컬 뒷풀이 공연 등이 열린다. 행사 기간 중인 10월 5일부터 6일까지는 '사투리는 못 참지' 전시와 연계한 '화개장터' 공연이 열리며, 10월 4일에는 한글학회 강당에서 '광복 이전의 한글'을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린다.

광화문광장에서는 10월 4일부터 5일까지 '한글에 물들다'를 주제로 한글문화산업전도 열린다. 해당 전시는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국립한글박물관에서도 동시 진행되며, 광화문광장에서는 신진 작가의 작품과 한글 콘텐츠로 상품화한 작품 전시외 인공지능 멋 글씨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관이 운영된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한글 식기와 한글 보석함 등 일상 생활용품 90여 점과 회화, 조각 등 예술로 승화된 한글 작품 10여 점, 인공지능(AI) 활용 작품 등을 선보인다.

국립국어원, 국립남도국악원,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전국 22개 국어문화원, 지자체 등도 해당 기간 내 △오디오북 공개행사 △'세종이 꿈꾸는 세상' 공연 △전통공연·체험행사 등을 연다. 세종학당재단은 오는 10월 6일부터 12일까지 75개국 172개소의 우수학습자 232명 등을 초청해 한국문화 체험과 한글 및 한국 역사 현장 탐방 등을 진행하며, 10월 7일에는 한국어 말하기 및 쓰기 대회 결선을 연다.

'2024 한글주간'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누리집과 SNS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