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채권형 랩·신탁 계좌 돌려막기로 적발된 증권사 6곳에 영업정지 중징계를 사전 통보했다. 당초 조사 대상이었던 9개 증권사들 중 8개 사에게 영업정지 처분이 내려졌다. 이 중 아직 처분이 확정되지 않은 유안타증권도 제재 수위는 유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1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국내 증권사 6곳의 랩·신탁 불건전 운용 관련 징계 처분을 결정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앞서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교보증권·유진투자증권·SK증권에 일부 영업정지를 통보하는 사전통지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증권사의 영업정지 기간은 각각 다른 것으로 보인다. 앞서 중징계 처분을 받은 KB증권(영업정지 3개월)·하나증권(영업정지 6개월)과 유사할 것으로 관측된다.
금감원은 지난해 5월 9개 증권사의 채권형 랩·신탁 판매 실태를 점검했다. 해당 점검에서 증권사들은 특정 고객의 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고객 계좌에서 손실을 돌려막거나, 회사 내부 자금으로 손실 일부를 보전해준 사실이 드러났다.
금감원은 1년 여의 검사 기간을 갖고 지난 6월 KB증권과 하나증권에게 먼저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기관 제재는 기관주의·기관경고·시정명령·영업정지·인가 취소 단계로 진행된다. 기관경고부터는 중징계로 분류된다.
금감원 제재심이 끝나면 해당 안건은 금융위원회 산하에 있는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에서 최종 제재 수위가 확정된다.
아직 KB증권과 하나증권 제재 건은 증선위로 올라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금감원, SK·iM·하나증권 리테일 채권 영업 점검 나선다
- 금감원, 증권사 랩·신탁 제재 재개…다음달 제재심
- 금감원 "채권 투자도 손실 가능성 있다"…투자유의 공지
- 윤병운 대표의 '유효타' NH투자증권, 호실적에 밸류업까지
- 금융당국 불판 우려 경고…경영인 정기보험 손보는 생보사
- 보험 사기 규모·제재 보험 종사자 매년 늘어…제재 인원 4년간 300명
- 미래에셋증권, 전사 업무 효율화 위한 AI Assistant 플랫폼 도입
- 유안타증권, 금융센터은평지점에서 투자설명회 연다
- 미래에셋·유안타·SK·한화투자증권 불건전영업으로 과태료 기관경고
- 금투협 "채권형 랩·신탁 사태 책임 통감"…재발 방지 약속
- 유안타증권, 3분기 누적 순익 619억원…전년比 30.9%↑
- 교보증권, 종투사 행보…부동산 PF 문제 없나
- 교보증권, 대한민국 1호 증권사 창립 75주년 기념행사 개최
- 검찰, '랩·신탁 돌려막기' 8개 증권사 압수수색
- '랩·신탁 돌려막기' 증권사, 징계 수위 낮아져…교보는 영업정지 예상
- '랩·신탁 돌려막기' 교보증권 중징계·8개 증권사 경징계
- 금융당국 '랩·신탁 돌려막기' 제재 마무리…교보증권 영업정지 1개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