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에셋증권은 인공지능(AI)를 활용으로 전사 업무 효율화를 추진하기 위해 AI Assistant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AI Assistant플랫폼은 미래에셋증권 직원·개별 부서가 직접 업무매뉴얼이나 노하우가 담긴 문서들을 업로드해 학습시킨 후 전용 챗봇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AI Assistant 플랫폼은 회사 전체 업무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회사 업무 전반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직원들에 본인만의 업무 Assistant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AI비전문가도 쉽게 챗봇을 생성·활용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AI Assistant 플랫폼이 전사 업무로 확장될 수 있도록 회사 내부에 전용LLM도 구축했다. 전용LLM인 '하이퍼클로바X 대시'는 네이버클라우드와 협업해 만들었다.
현재 금융사는 망 분리·데이터 보안 이슈로 이미 개발돼 있는 생성형AI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은 최고 수준의 AI기술력을 보유한 네이버클라우드와 지난해부터 협업을 시작해 회사 내부에 활용할 수 있는 온프레미스형(회사 내부 IT 인프라) sLLM(소형언어모델)을 구축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회사 내 AI적용을 위해서는 GPT와 같은 대형 모델보다 업무별로 특화된 sLLM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금융분야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LLM을 활용했으며, 학습을 통해 개선 및 고도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박홍근 미래에셋증권 IT부문 대표는 "AI를 통한 전사 업무 효율화와 금융 비즈니스 혁신은 모든 금융 회사의 숙제일 수 있다"며 "AI Assistant 플랫폼과 전용 LLM이 좋은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하며 AI 개발과 적용 범위 확대에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 금감원, '랩·신탁 돌려막기' 증권사 6곳 영업정지 중징계 통보
- 미래에셋증권,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의혹 과태료…이례적 '상향'
- 미래에셋 1위, NH·신한·키움은 적자…'인니' 증권사 향방은
- 미래에셋증권, 2030년까지 1억주 이상 소각
- 한투·대신·카카오페이·미래에셋·DB금투·IBK증권 [Daily Pick 증권]
- 하나·DB금투·SK·NH·KB·미래에셋·한투·신한투자증권 [Daily Pick 증권]
- KB·신한·한투·미래에셋증권 [Daily Pick 증권]
- 미래에셋증권, 실시간 'AI 마켓 어시스턴트' 시스템 구축
- 미래에셋증권 인도법인, 리테일 날개 펼친다…고객계좌 200만개 돌파
- 미래에셋증권, 개인정보보호 국제 표준 'ISO 27701 인증' 취득
- 미래에셋증권 "ROE 10% 달성 기반 충분" [컨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