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사진제공=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협회와 증권업계는 지난 2022년 업계의 채권형 신탁·일임 업무처리 관련 잘못된 운용 관행으로 인해 발생한 시장 혼란에 깊은 책임을 통감하고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12일 밝혔다.

당시 일부 증권사는 계약기간보다 만기가 더 긴 자산을 편입한 채권형 신탁‧일임 계약에서 편입자산의 시장 매도가 어려워지자 환매 대응을 위해 회사 고유자금을 사용했다.

해당 증권사들은 당시 논란 이후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해 채권형 신탁‧일임 계약 관련 고객 위험고지 강화, 정상 매매가격(괴리율) 기준 설정·이상거래 모니터링 강화 등 영업‧운용‧리스크관리‧컴플라이언스 전반에 걸쳐 자체 개선방안을 마련해 실행해 왔다. 환매 중단·지연 등 문제가 되었던 계약은 고객과의 협의로 만기를 연장하거나, 적법한 내부 절차 등을 거쳐 환매를 진행하는 등 고객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또 협회는 채권형 계약 운용 시 업계 전체가 준수해야 할 자체적인 규제 장치로서 '채권형 투자일임 및 특정금전신탁 리스크관리 지침'을 제정해 12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지침에는 채권형 투자일임과 특정금전신탁 운용 등과 관련해 △90일 초과 만기 미스매칭 시 투자자 동의 의무화 △편입자산 시가평가 의무화 △시장 급변 시 투자자 통지‧자산 재조정 등 이행 △듀레이션‧거래가격 등 관련 상시 감시체계 구축 의무화 등이 규정됐다.

업계는 금융당국과의 논의를 거쳐 과도한 영업 관행 개선과 시장 충격 시 계약 유동성 관리 방안 마련 등 추가 개선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관행이라는 명목으로 그간 증권업계에 지속되었던 불합리한 점들을 재점검하고 개선하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 우리 업계 전체가 뼈를 깎는 노력으로 신탁‧일임 산업이 고객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