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상생과 협력을 모색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는 16일 서울 중구 앰배서더 서울풀만호텔에서 ‘2023 국제 OTT 포럼’을 개최했다.
올해로 2회차를 맞이하는 이번 포럼에서는 국내 OTT 사업자인 티빙, 웨이브와 넷플릭스(미국), Viu(홍콩), DAZN(영국), Canal+(프랑스) U-NEXT(일본) 등 글로벌 OTT 기업들이 참가해 교류를 가졌다.
기조연설, 특별세션을 포함한 총 6개의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행사는 ‘상상 이상의 스트리밍’을 주제로 국내 OTT 사업자의 성공적인 해외시장 진출과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로벌 OTT 1위인 넷플릭스 강동한 한국 콘텐츠 총괄의 글로벌 OTT시장 협력 방안에 대한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동남아시아 최대 OTT로 자리매김한 홍콩 Viu의 재니스 리 대표의 아시아 OTT 시장 현황 및 발전방안 발표가 이어졌고 국내 토종 OTT 1위인 티빙의 최주희 대표가 온라인 스트리밍과 콘텐츠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열었다.
특별세션으로는 FIFA, F1 등 글로벌 스포츠 콘텐츠 전문 OTT인 DAZN의 존 글리셔 부회장이 OTT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스포츠 콘텐츠의 경쟁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세션 1에서는 글로벌 리서치 전문기업 MPA 비벡 쿠토 대표가 OTT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전망하고, 세션 2에서는 일본 내 자국 기업으로 유일하게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U-NEXT 텐신 츠츠미 대표가 일본 OTT 시장 현황과 성공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
세션 3에서는 유럽, 아프리카 등 31개국에 진출한 프랑스 대표 미디어 그룹인 Canal+의 최병욱 수석부사장이 Canal+의 해외 진출사례를 발표했고, 이어지는 세션 4에서는 한국리서치 김기주 본부장이 해외 국가별 미디어 이용 행태에 대해 진단했다. 세션 5에서는 국내 OTT 중 유일하게 해외 진출 후 흑자를 기록하고 있는 KOCOWA 박근희 대표가 K-OTT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마지막 순서로 ‘한국 OTT 산업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을 가졌다.
중앙대 성동규 교수의 발제에 이어 한국 OTT 포럼 문철수 회장의 사회로 티빙 박종환 부장, 웨이브 노동환 리더, 방송통신대학교 이성민 교수, 넷플릭스 ‘피지컬: 100’을 제작한 장호기 PD가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미디어산업 환경이 격변하는 지금, 국가 간 그리고 플랫폼 간 경계를 허물고 모두가 힘을 합칠 때 OTT산업은 지속 발전할 것”이라며 “오늘 행사를 통해 국내 OTT 기업이 K-콘텐츠를 타고 해외시장으로 뻗어 나가, 글로벌 미디어 강국으로 나아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 아시아 최대 광고 축제 ‘애드아시아’, 25일 서울서 개막
- “미국·중국은 K-푸드, 인니·프랑스는 K-팝”
- 글로벌 OTT 시대, K-무비 지속 확산 방안은?
- 아시아콘텐츠·글로벌OTT 어워즈, 경쟁 부문 후보작 발표
- 방통위, 태국 방통위와 ‘디지털 이용자 보호 정책 방안’ 논의
- 'BC바로카드'로 OTT 공짜로 즐기세요
- KBS, 무료 OTT 앱 ‘KBS+’ 론칭
- OTT로 가는 영화 제작 인력…영진위 방안 모색 토론회
- “지상파 콘텐츠의 사회적 가치 지킬 제도 개선 시급”
- ‘독전2’ 등 신작 영화·OTT 9편, 부산국제영화제서 첫 공개
- ‘국제방송영상마켓’ 16일 개막…콘진원 “역대 최대 규모”
- 국제 OTT 시상식, 10월 부산서 첫 개최
- 문체부, 드라마·예능 등 제작비 세액공제 확대 논의
- OTT 콘텐츠도 영화로?…법적인 ‘영화’ 개념 새로 세운다
- 영국서 K-콘텐츠 매력 알린다…문체부, 엑스포 개최
- 일본 드라마·예능 등 비디오물 규제 폐지
- OTT 빠진 중장년, 연 평균 60%씩 늘어
- 영등위, 제2차 OTT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신청 접수
- KBS제주 ‘뮤트’, 방심위 선정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
- ‘대한민국 공익광고제’ 대상에 ‘멸종위기 1급 대한민국’
- SBS, 예능-보도 제작 스튜디오 공식 출범
- 방통위, ‘방송 평가결과’ 발표…지상파 KBS1·종편 MBN 1위
- 방통위, OTT·음원 서비스에 해지 간소화 권고
- 대전국악방송, 청소년 위한 토크 콘서트 5일 개최
- 이동관 방통위원장, 탄핵안 처리 앞두고 자진 사퇴
- 방통위, 경남 창원에 ‘시청자미디어센터’ 개관
- 저출생 문제 다룬 EBS ‘다큐 K’, 양성평등미디어상 대상
- 방통위, 유튜브·넷플릭스 등 OTT 요금 인상 실태점검
- “K-콘텐츠 선호도, 대만·인도네시아서 1위”
- “‘EBS 중학 프리미엄’ 무료화에 이용자 13배 증가”
- 올해 OTT 이용률 77%…유튜브·넷플릭스·티빙 순
- 방통위, 내년 시청각장애인용 TV 3만여 대 보급
- 방통위 “소상공인 방송광고 제작지원 신청하세요”
- tvN 등 25개 채널, 방송콘텐츠 제작역량 ‘매우 우수’ 평가
- 김홍일 "방통위 5인 체제 되도록 국회가 도와달라"
- 방통위 '2030 자문단' 출범…"청년 목소리 정책 반영"
- 방통위, KBS 등 141개 지상파 재허가 의결
- '저작권료 인상안 반대' 패소···OTT 3사 "상생의 장 마련해야"
- 유진이엔티, YTN 최대주주 됐다…방통위, 변경 신청 승인
- 문체부·콘진원, 토종 OTT 5개사와 '맞손'…"세계 경쟁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