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이하 OTT) 이용률이 77%로 집계되며 전년 대비 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28일 발표한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97.8%)와 10대(97.6%)의 이용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등 연령이 낮을수록 OTT 이용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OTT 이용 시 스마트폰(86.3%)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고, TV수상기 이용이 전년(16.2%) 대비 5.9%포인트 증가했다. 주로 이용하는 OTT는 유튜브 71%, 넷플릭스 35.7%, 티빙 9.1%, 쿠팡플레이 6.3% 순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94.8%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10대~50대 보유율은 99% 이상이며 60대는 96.2%, 70세 이상은 66.5%로 전년 대비 각각 증가했다.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매체는 스마트폰을 70%, TV를 27.2%의 응답자가 선택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그 밖에 데스크톱·노트북, 라디오, 신문 등을 필수매체로 인식하는 비율(2% 미만)도 전년도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필수매체로 선택한 비율이 10대 95.5%, 20대 91.6%로 집계됐으며 60대는 48%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주 5일 이상 TV수상기를 이용한 비율은 71.4%로 전년(75.5%) 대비 감소했고, 스마트폰 이용률은 91.4%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이용 빈도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TV 이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0대~30대의 TV 이용률은 전년 대비 크게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올해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4633가구에 거주하는 만 13세 이상 남녀 7055명을 방문 면접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보고서는 방통위 누리집과 방송통계포털 누리집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 부산영상위, 올해 118편 촬영 지원…OTT 큰 폭 증가
- “K-콘텐츠 선호도, 대만·인도네시아서 1위”
- 내년 문체부 예산 6조9545억원 확정…문화예술 지원 확대
- 방통위, 유튜브·넷플릭스 등 OTT 요금 인상 실태점검
- 영등위, ‘OTT 바로보기 캠페인’ 이벤트 진행
- 방통위, OTT·음원 서비스에 해지 간소화 권고
- 방통위, ‘국제 OTT 포럼’ 개최…상생·협력 모색
- 글로벌 OTT 시대, K-무비 지속 확산 방안은?
- 아시아콘텐츠·글로벌OTT 어워즈, 경쟁 부문 후보작 발표
- KBS, 무료 OTT 앱 ‘KBS+’ 론칭
- OTT로 가는 영화 제작 인력…영진위 방안 모색 토론회
- “지상파 콘텐츠의 사회적 가치 지킬 제도 개선 시급”
- 국제 OTT 시상식, 10월 부산서 첫 개최
- OTT 콘텐츠도 영화로?…법적인 ‘영화’ 개념 새로 세운다
- 17년 묵은 ‘영화비디오법’…개정 방안 토론회
- 방통위, 내년 시청각장애인용 TV 3만여 대 보급
- 한국방송협회-저출산위, 인구구조 변화 대응 위한 MOU
- 방통위 “소상공인 방송광고 제작지원 신청하세요”
- tvN 등 25개 채널, 방송콘텐츠 제작역량 ‘매우 우수’ 평가
- 케이블TV기자협-선관위, 올바른 총선 정보 알리기 '맞손'
- 김홍일 "방통위 5인 체제 되도록 국회가 도와달라"
- 방통위 '2030 자문단' 출범…"청년 목소리 정책 반영"
- 방통위, KBS 등 141개 지상파 재허가 의결
- '저작권료 인상안 반대' 패소···OTT 3사 "상생의 장 마련해야"
- "일방적 리스크 전가"…방송협회, '콘텐츠사용료 산정방안'에 반발
- 유진이엔티, YTN 최대주주 됐다…방통위, 변경 신청 승인
- 방송출연 아동 권익 강화…방통위, 가이드라인 개정
- 방통위·시청자미디어재단, 찾아가는 미디어나눔버스 운영
- 방통위, '2024 방송대상' 접수…총 15편 시상
- 문체부·콘진원, 토종 OTT 5개사와 '맞손'…"세계 경쟁력 강화"
- 방통위-코바코, 공익광고 청년자문단 발대식 개최
- OTT 통계도 한눈에…방송통계포털, 다운로드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