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문화재청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한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한다고 6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아자방 온돌은 우리나라 전통 온돌문화와 선종사찰의 선방이 결합된 독특한 문화유산이며, 불교사와 건축사 등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고, 현존하는 사례 중에서도 희소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지정 가치가 충분히 인정된다”라고 설명했다.

지리산 반야봉 남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칠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末寺)로, 1세기경 가락국 김수로왕 일곱 왕자가 출가해 성불했던 암자인 칠불암이 이어진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칠불사 경내에는 아자방으로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선방이 있는데, 이는 스님들이 벽을 향해 수행할 수 있도록 방 안 네 귀퉁이를 바닥면 보다 한 단 높게 구성함으로써 ‘아(亞)’ 모양의 아자형 평면을 이룬 방 전체에 구들을 놓아 만든 온돌방이다.

아자방 온돌의 축조 년대는 신라시기 때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2017년 진행된 발굴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고려시대의 유물과 함께 기타 여러 기록 자료에 의하면 아자방 온돌은 선종사찰의 선방으로서 그 기능을 유지해 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옛 선비들이 지리산을 여행하고 남긴 각종 지리산 유람록과 함께 일제강점기 발행됐던 신문기사 등 당시의 자료들을 통해서도 그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은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에 대해 30일간의 예고기간을 거쳐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