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의 발굴허가를 받아 부여군과 (재)백제역사문화연구원이 추진하고 있는 부여 가림성 발굴조사에서 백제~통일신라시대 성벽과 배수체계가 발견됐다.
부여 가림성은 백제 사비도성을 보호하는 거점산성으로 삼국사기에 ‘백제 동성왕 23년(501년) 8월에 가림성을 쌓고 위사좌평 백가에게 지키게 하였다’는 내용을 통해 축조연대, 명칭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가림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1996년 동문지와 남문지를 시작으로, 2011년부터 2023년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진행됐으며, 이 조사들을 통해 백제~조선시대 성벽, 수구지, 집수지, 건물지 등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조사구역은 가림성 북성벽 일대로, 조사 결과 백제~통일신라의 성벽이 확인됐다. 특히 동성왕대에 축조됐음을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 또한 성벽 가운데를 관통하는 배수로는 백제시대 성벽에서 처음 확인된 자료로써, 당시 유수의 관리와 효과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한 백제인의 기술력을 알 수 있다.
문화재청은 “성 안에 물을 모으기 위한 집수시설 역시 여러 시대에 걸친 증·개축 양상이 관찰되는데, 이는 기존의 시설을 재활용해 효율성을 높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중 특히 통일신라시대 집수시설은 경사진 암반을 그대로 이용하여 원형으로 축조한 것으로 파악됐다”라고 설명했다.
남아 있는 규모는 지름 15m, 깊이 2.8m이며 집수시설 내부에서는 ‘성(城)’자가 음각된 토기 등이 출토된 만큼 집수 외에도 건물의 안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제의(祭儀) 장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문화재청은 5일 오후 2시에 해당 발굴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
- 광화문 월대 복원의 시작과 끝…5일 토론회 개최
- 조선시대 직업 속 무형유산 이야기…12일 ‘책마루 인문학 강연’
- 문화재청 “교육현장 속 문화유산 우수교육 사례 찾습니다”
-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무형유산 보호 위한 3자 MOU
- 공연으로 만나는 사기장·매듭장…독일 관객 만난다
- 금빛으로 사자 수놓은 16세기 복식…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 ‘대한제국 영빈관’ 덕수궁 돈덕전, 100년 만에 문 ‘활짝’
- 불화장·소목장 등 국가무형유산 이수자 공예품 만난다
- 유네스코 신규 세계유산에 가야고분군 등 42건 등재
- 고종의 비밀 정보기관 ‘제국익문사’ 요원 체험해볼까
- 프랑스·인도 등서 만나는 전통 무형유산…전승자 주관 행사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한미동맹 70주년 특별전 ‘동행’ 개막
- 국악·발레·재즈의 융합 공연, 경복궁에서 만난다
- 문화재청,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 추진
- 발굴체험부터 고분탐방까지…22~24일 신라 문화유산 축제
-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국가민속문화유산 된다
- 호암동유적으로 본 충주 청동기문화…12일 학술대회
- ‘어린이 제관’ 되어 조선왕실 제례 체험해볼까
- 문화유산채널, ‘골드버튼’ 받았다…유튜브 구독자 100만 돌파
- 창경궁서 만나는 동백꽃…27~28일 반려식물 행사
- 대한제국의 외교 현장, 덕수궁서 재현된다
- 부여 관북리 유적서 칠피갑옷 출토…"백제 멸망의 혼란상 나타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