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국가유산 행정의 전 과정을 디지털로 통합·운영하는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은 이달부터 구축에 들어가 2024년 말까지 약 16개월에 걸쳐 진행되며,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해 국가유산 행정을 통합관리 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국가유산의 보존관리 행정의 전 과정을 전산화·자료화해 행정업무의 누락과 중복을 없애며, 수기업무를 최소화해 사용자 중심의 빠르고 정확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문화재청·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협업기관과 민원인이 국가유산 관련 행정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자료를 축적하고 통계화해 국가유산 정책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유산 체제로의 전환과 변화하는 행정수요와 정책 환경에 맞춰 기존의 전자행정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재청의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3월부터 문화재청 각 부서와 지방자치단체의 변화된 업무현황과 요구사항 등을 분석했다”라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이 도입되면 지방자치단체의 국고보조사업 신청 및 관리, 발굴조사기관 및 동물보호단체 등 협업기관의 사업신청 및 허가과정 등 국가유산 관련 민원업무가 한층 간편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2004년부터 운영돼온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은 문화재청, 지자체, 수리기술자, 지표·발굴기관 등 국가유산 분야 1400여개 기관의 1만5000여명과 일반 국민이 이용하고 있다. 지정, 보수정비, 지표발굴, 현상변경 등 24개 국가유산 보존관리 업무의 전자행정 처리가 이뤄지며 총 5890만여건의 이력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 발굴체험부터 고분탐방까지…22~24일 신라 문화유산 축제
- 천마총 발굴 50주년…경주의 과거·현재 담긴 사진전
- 매장문화재 보호 협의, 지자체 위임…규제절차 이행기간 단축
- 드론쇼부터 문화강좌까지…조선왕릉문화제, 13일 개막
- 4대궁·종묘·왕릉, 추석 연휴기간 무료 개방
- ‘왕세자의 공간’ 경복궁 계조당 복원 완료…20일부터 공개
- 전승공동체 활성화 사업에 ‘우리 한복 이어가기’ 등 선정
- 호국선열 애국정신 기린다…칠백의총·만인의총 ‘순의제향’
- 설·대보름·추석 등 5개 명절, 국가무형유산 지정 예고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한국 16번째 등재
- 문화재청, 우즈베키스탄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공동연수
- 조선 활옷, 강연으로 만난다…고궁박물관 ‘왕실문화 심층탐구’
- 문화재청, 내년 지역문화유산 활용사업 389건 선정
- ‘포항 금광리 나무화석’ 천연기념물 지정 기념행사 개최
- 별자리 관측부터 인문학 강의까지…창경궁 관천대 행사
- 금빛으로 사자 수놓은 16세기 복식…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 문화재청 “교육현장 속 문화유산 우수교육 사례 찾습니다”
- 광화문 월대 복원의 시작과 끝…5일 토론회 개최
- 4대 고궁서 즐기는 공연·전시·체험…‘궁중문화축전’ 13일 개막
- 부여 가림성서 백제~통일신라 성벽·배수체계 발견
- 국가유산 발굴·연구…‘전북문화재연구센터’ 2026년 개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