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이 연극 ‘우리 읍내’를 다음 달 22일부터 25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한다.
‘우리 읍내’는 소소한 일상의 가치를 그려낸 미국 극작가 손턴 와일더의 동명 희곡을 한국적으로 각색하고, 장애인을 가족·친구로 둔 사람들의 이야기로 풀어낸 작품이다.
연극 ‘우리 읍내’의 원작은 미국 극작가 손턴 와일더의 희곡으로, 1938년 발표해 퓰리처상을 받은 뒤 세계 무대에서 꾸준히 공연된 작품이다. 미국 뉴햄프셔주 작은 마을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사유를 던진다.
이번 작품의 각색과 연출·음악은 연출가 임도완이 맡았다. 한글 자막과 음성 해설, 수어 통역이 함께하는 무장애(배리어 프리) 공연으로 선보인다. 각색을 맡은 임도완은 평범한 일상으로 흘러가는 원작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한국인 정서에 맞게 작품의 시대적·지역적 배경을 1980년대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 읍내로 옮겨왔다.
이와 함께 등장인물 설정을 바꿔 장애인을 가족으로 둔 사람들의 일상과 애환을 담담하게 그려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존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자연스레 보여준다.
각색부터 연출, 음악까지 맡은 임 연출가는 “음성 언어나 수어, 어떤 형태든 언어를 알아듣는다고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라며 “각색 과정에서 농인 가족을 등장시켜 침묵이 흐르는 수어의 순간에 서로의 마음속 헤아림의 언어를 들려주고자 했다”라고 말했다.
임도완은 작품의 주제가도 직접 작곡했다. 인간의 삶과 죽음을 아름답게 노래한 천상병 시인의 ‘귀천’을 가사로 차용해 극의 메시지를 더욱 선명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여기에 무대 디자이너 정승호, 조명 디자이너 신호, 의상·장신구 디자이너 이주희 등 관록의 제작진이 함께 한다.
‘우리 읍내’는 농인(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 배우 2명과 청인(음성 언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비장애인) 배우 14명, 수어 통역사 5명, 음성 해설사 1명이 무대에 올라 누구나 겪는 일상과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삶의 모습을 그려낸다. 작품은 총 3막으로 구성된다. 1막에서는 마을의 하루, 2막은 성장과 결혼, 3막은 죽은 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관객과 직접 소통하며 전지적 관점에서 극을 해설하는 무대감독 역은 연극배우 구본혁이 연기한다. 원작의 에밀리에서 청각 장애를 지닌 황현영으로 바뀐 역할은 농인 배우 박지영이 맡았다. 농인 예술단체 핸드스피크 소속 배우 김우경도 신문 배달부 역과 무대감독의 수어 통역을 맡아 무대에 오른다. 이 밖에도 황현영의 단짝 김민규 역에 안창현을 비롯해 연극배우 권재원, 김미령, 성원, 이정은 등이 출연해 열연을 펼친다.
-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DPS컴퍼니와 MOU 체결
- ‘청춘마이크 수도권’ 예술가, 골든도넛 등 59팀 선정
-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 21일 개막…박근형·예수정·김동완 출연
- ‘백상예술대상’, 엄정화·이제훈·류승완 등 시상자 공개
- 서울어린이대공원 개원 50주년…‘꿈꾸러 50 SHOW’ 개최
- ‘부산국제단편영화제’, 25일 개막…39개국 146편 만난다
- 조선 세자빈의 첫 인사 ‘묘현례’, 창작극으로 만난다
- “만 19세에 20만원 지원” 서울청년문화패스 접수 시작
- 서울연극센터 3년 만에 ‘문 활짝’…개관 행사 풍성
- 인천시립극단 새 예술감독에 이성열 위촉
- '제1회 서울예술상' 대상에 허윤정 ‘악가악무-절정’
- 성년 맞은 ‘부산국제연극제’ 2일 개막…11개국 작품 참가
- 연극 ‘그때도 오늘’, 오산·창원 등 5개 도시 투어
- 춤으로 재해석한 전통음악…국립무용단 ‘산조’ 재공연
- 세계의 ‘가면’ 만난다…국립극장, ‘어린이 예술학교’ 운영
- 여름밤 야외서 즐기는 공연 실황 …국립극장 ‘달빛 상영회’
- 국립극단, 서계동 잠시 떠난다…7일 대학로 이전
- 내 이야기가 한 편의 작품으로…서울기록원, 희곡쓰기 프로그램
- 국립극장, 무장애 음악극 ‘합체’ 9월 개막
- 서울문화재단, ‘서울희곡상’ 신설…상금 2000만원
- 국립극장, ‘예술가와 함께 하는 박물관데이트’ 16일부터 운영
- 문화시장부터 워크숍·공연까지…국립극장 야외 문화축제
- 연극 ‘튜링머신’, 국내 초연…LG아트센터서 11월 개막
- 국립극장, ‘오셀로’·‘갈매기’ 등 해외 최신 연극 상영
- 극문학 공연예술 축제 ‘극작 엑스포’, 내달 1일 개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