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이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공연 ‘산조’를 해오름극장에서 선보인다.
전통 음악 산조에 담긴 한국적 아름다움을 춤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국립무용단 수석단원을 거쳐 경기도무용단 상임안무가로 활동 중인 최진욱이 안무를, 국립무용단 대표 흥행작 ‘묵향’, ‘향연’의 연출가 정구호가 연출·무대·의상·영상 디자인을 맡았다. 직접 춤을 추며 음악을 만드는 안무가이자 음악가인 김재덕과 한국인 최초 그래미상을 2회 수상한 황병준은 음악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2021년 초연 당시 객석 점유율 99%를 기록했던 ‘산조’는 전통과 현대, 무용과 음악의 경계를 허물며 한국무용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한국 전통 기악 독주 양식인 산조 특유의 불규칙성과 즉흥성을 토대로 흩어짐과 모임의 미학을 춤과 음악, 무대 미장센으로 풀어낸다.
작품은 총 3막 9장으로 구성된다. 1막 ‘중용’은 비움의 미학과 절제미를 주제로 불균형 속 평온을 유지하는 한국적 움직임을 담는다. 이어지는 2막 ‘극단’은 불균형 속 균형을, 3막 ‘중도’는 불협과 불균형마저 품어내는 새로운 균형을 표현하며 산조 양식이 지닌 궁극적인 철학을 펼쳐낸다. 무질서 속에서 질서를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무용의 움직임을 해체·분석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변주한다.
무대에는 전통의 철학적 본질을 상징하는 지름 6m의 대형 바위 형상의 오브제가 등장해 작품의 무게감과 깊이를 더하고, 음악적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삼각형 조형물과 원형 LED 패널은 무용수들의 속도감 있는 움직임, 의상 색 등과 대립을 이루며 산조의 불규칙성을 더욱 강조한다.
국립무용단 예술감독 김종덕은 “산조는 초연 시 해오름극장 객석을 가득 채운 관객의 환호로 새로운 전통의 탄생을 실감했던 공연”이라며 “역사 속에 고정되지 않은 살아 숨 쉬는 전통의 힘을 느낄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연극 ‘그때도 오늘’, 오산·창원 등 5개 도시 투어
- “서울시민 문화활동 회복세…문화비 지출 평균 10만원”
- 성년 맞은 ‘부산국제연극제’ 2일 개막…11개국 작품 참가
- 日한류 20주년…‘난타’와 함께 K-관광 재도약 나선다
- 퓰리처상 수상 연극 ‘우리 읍내’, 국립극장 6월 개막
- 서울문화재단, 관광약자 시설 갖춘 사찰 3선 추천
- 평화기원 가요제 ‘통일로가요’, 27일 광화문서 결선
- 여름밤 정취 느끼며 청와대 산책 즐겨볼까
- 공연부터 바자회까지…반포 한강공원서 28일 ‘자전거 축제’
- 서울역사박물관-서울시향, 26일 ‘뮤지엄 콘서트’ 개최
- 제주해비치아트페스티벌, 6월12일 개막…3000여 명 참여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문체부, 드라마·예능 등 34편에 후반작업 지원…245억 투자
- 성악가·시민 한 무대에…오페라 ‘카르멘’ 시민예술단 모집
- 세계인의 날 기념 ‘부산세계시민축제’ 20일 개최
- 세계의 ‘가면’ 만난다…국립극장, ‘어린이 예술학교’ 운영
- 부산시립무용단, 파나마시티서 韓전통무용 매력 전파
- 여름밤 야외서 즐기는 공연 실황 …국립극장 ‘달빛 상영회’
- 국립극장, 무장애 음악극 ‘합체’ 9월 개막
- 독무·군무로 만나는 전통춤의 재해석…국립무용단 ‘온춤’
- 국립극장, ‘예술가와 함께 하는 박물관데이트’ 16일부터 운영
- 문화시장부터 워크숍·공연까지…국립극장 야외 문화축제
- 국립극장, ‘오셀로’·‘갈매기’ 등 해외 최신 연극 상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