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도성 방문객들을 위한 문화 프로그램이 새단장을 했다.

서울시는 오는 20일부터 ‘쉼이 있는 한양도성’을 주제로 작은 음악회·도성과 마을 해설·체험 등 총 4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한양도성 작은 음악회’는 혜화문 맞은 편 낙산 초입에 위치한 369마을 내 작은 카페인 369마실 앞에서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에 개최된다. 도성 주변에 거주하는 예술가들이 공연자로 참여한다. 우리의 전통 국악과 어쿠스틱 기타로 연주되는 재즈 등으로 도성과 마을의 일상을 소박하고 잔잔하게 담을 수 있는 곡들이 연주된다.

마을 해설프로그램인 ‘도성과 마을’은 도성과 성곽마을이 함께 해온 오랜 시간들을 해설과 체험으로 만나는 특별 프로그램이다. 조용하고 소박한 성곽마을의 일상을 눈으로 마음으로 담아갈 수 있는 문화체험 프로그램이다. ‘도성과 마을’은 흥인지문이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충신성곽마을 혜화문 건너편 도성 바깥마을인 369마을 그리고 성곽마을 여행자 안내센터 총 세 곳에서 진행된다.

충신성곽마을 작은 한옥 흥인재에서는 테라리엄을 체험을 할 수 있다. 충신성곽마을의 해설과 체험은 총 2시간 내외의 프로그램으로, 흥인지문 공원에서 출발해 한양도성박물관을 둘러본 후 충신성곽마을 골목길을 거쳐 주민공동이용시설인 한옥 ‘흥인재’에서 테라리엄 만들기 체험을 할 수 있는 코스로 구성됐다.

369마을에서는 혜화문 건너편 낙산 초입에 위치한 369마을이 품고 있는 삶의 이야기들을 해설로 만나게 된다. 369마을의 해설과 체험은 1시간 내외로 한성대입구역 3번 출구에서 만나 혜화문 건너편 낙산초입 순성길과 마을의 골목에 위치한 주민공동이용시설인 369사랑방과 369예술공방을 지나 369예술터에서 진행되는 전시를 관람하게 된다.

한편, 성곽마을 여행자안내센터에서 진행되는 ‘전각(篆刻)으로 만나는 한양도성’은 서울거주 외국인 대상 참여프로그램으로 영어로 진행된다. 성돌에 새겨진 각자성석의 의미를 전각체험으로 만날 수 있다.

키워드
#서울 #관광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