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화성 축성의 주역이자 수원부유수를 지낸 조심태(1740~1799)의 조선시대 초상화가 처음으로 발견됐다.
수원화성박물관 김세영 학예연구사는 5월 개막 예정인 ‘수원유수부 승격 230주년 기념 전시’ 관련 자료 조사 과정에서 조심태의 조선시대 초상화 2점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13일 밝혔다.
정조 시대 무신인 조심태는 수원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는 인물로 정조대왕이 총애하던 신하 중 한 명이다. 조심태 초상화는 삼성 일가가 2021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의 수집품 2만3300여점 속에서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건희 컬렉션의 정리를 마치고 올해 1월부터 전국 박물관의 소장품 정보를 모아둔 e뮤지엄에 1만여건의 정보를 공개했고, 김세영 학예연구사는 여러 인물의 초상화와 섞어 편집한 2개의 초상화첩에 1점씩 들어있는 조심태의 초상화 2점을 발견했다. 시복본(채색) 오른쪽 상단에 ‘趙御將心泰(조어장심태)’라는 글씨가 쓰여있는 것을 보고 조심태의 초상화라는 것을 알아챘다.
‘어장’은 ‘어영대장(御營大將)’의 준말이다. 조심태는 1794년 수원유수에 임명되기 전인 1792년 어영대장을 지낸 바 있어 조심태가 53세 때 그린 초상화로 추정된다. 채색한 시복본의 초본으로 추정되는 시복본에는 오른쪽 상단에 ‘大將趙心泰(대장조심태)’라는 글이 쓰여있다.
조심태는 근엄한 얼굴에 눈매가 매서워 보는 이를 압도한다. 김 연구사는 “얼굴의 곰보 자국, 수염의 묘사가 매우 섬세한 것으로 보아 뛰어난 솜씨의 궁중 화원이 그린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정조대왕의 두터운 신뢰를 받았던 조심태는 1789년 수원부사로 부임해 현륭원 조성과 수원신읍 건설에 큰 역할을 했고, 1794년 수원화성 축성 당시에는 감동당상(監董堂上)을 맡아 완공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정조대왕이 조심태에게 보낸 편지 중 “경(조심태)처럼 뚱뚱한 사람이 어떻게 삼복더위를 견디겠는가. 실로 동병상련이나 우습다”는 내용이 있는데, 정조와 조심태가 얼마나 가까운 관계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수원화성박물관은 정조대왕 탄신 270주년을 기념해 수원화성 축성과 신도시 수원 건설에 대한 정조의 생각이 담긴 편지를 번역한 역사자료총서9 ‘정조어찰첩-정조대왕이 수원유수 조심태에게 보낸 편지’(2022년 12월)를 발간하기도 했다. ‘정조 사 조심태 어찰첩’(경기도유형문화재 제299호)는 5월에 개최하는 전시에서 볼 수 있다.
수원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협의를 거쳐 조심태 초상화 2점을 5월 개최 예정인 ‘수원유수부 승격 230주년 기념 전시’에 소개할 계획이다.
- 국립중앙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개관
- 대구 향촌동 역사, 서울역사박물관서 만난다…협업 전시
- 놀이로 만나는 멧토끼·굴토끼…국립수목원 특별 전시회
- 실감콘텐츠 명소 ‘광화시대’, ‘K-컬처 스퀘어’로 새 단장
- '박물관신문' 50년 기록 한눈에…국립중앙박물관, 아카이브 공개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보고 듣고 배우는 '톡톡 콘서트' 개최
- 해설 곁들인 클래식 음악회…서울역사박물관, '봄의 찬미' 개최
- '이건희 컬렉션 지역순회전', 49만명 관람…내년까지 이어간다
- '외규장각 의궤', 큐레이터 해설로 만난다
- 문체부, 전국 140개 우수 공립박물관 선정
- 을사늑약에 항거한 민영환의 서구식 군복, 문화재 된다
- 조선왕실 태교는 어땠을까…고궁박물관, 체험 교육 진행
- 서울공예박물관, 공예 애호가 위한 마스터클래스 개설
- 수원시립미술관, 에르빈 부름展 관람객 5만명 돌파
-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사와 온라인 전시투어 떠나요”
-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 상설전시 해설영상 공개
- 국립대구박물관, 아카펠라 그룹 엑시트 공연 개최
- 국립중앙박물관, 공연예술축제 4월8일 개막
- 70년 된 ‘의용소방대 사직서’ 주인공 후손 찾았다
- 국립중앙박물관, 매주 수요일 ‘큐레이터와의 대화’
- 수원화성문화제 발자취 한눈에…60주년 사진전
-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 전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