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국립중앙박물관
사진 제공=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를 13일 개관했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인공지능 기반의 키오스크와 이와 연계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서비스로, 장애유형별 맞춤형 기능을 구현해 시·청각 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이 누군가의 도움 없이도 최적의 박물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키오스크는 상설전시관 1층에 두 대, 2층과 3층에 각 한 대씩 설치됐다. 전시관 내 키오스크에서 시각장애인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안내와 점자 키패드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고령자나 저시력 시각장애인은 화면 글씨 확대와 색상 고대비 화면 등으로 쉽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나 저신장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키오스크 자동센서를 통한 높이 조절 기능도 제공한다.

특히 청각 장애인이 수어로 질문을 하면, 질문의 의도에 맞는 내용을 3D 수어 아바타가 수어로 대답하는 기능도 갖췄다. 단순한 시설 안내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품에 대한 설명도 수어 아바타나 수어 영상 등으로 제공한다. 수어 검색 서비스는 아직 개발의 초기 단계로, 향후 대량의 수어 학습데이터 구축 등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을 할 예정이다.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안내는 관람객 개인의 휴대폰과 연동해서도 이용 가능하다. 키오스크 화면의 QR코드를 촬영하면 박물관 전시안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며, 수어 챗봇 기능을 포함하여 추천동선 안내와 전시품 해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시를 관람하면서도 개인의 휴대폰을 활용하여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2년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로 선정된 것으로, 국립중앙박물관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공동으로 1년간 준비해왔다.  박물관 관계자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시작으로 전국의 소속 국립박물관까지 스마트 전시관 구축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며, 올해에는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에 시스템을 구축해 내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