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이 큐레이터의 상세한 해설을 들으며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마련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3월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특별전 '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를 비롯해 상설전시실 곳곳에서 문화유산과 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주제로 구성된다. 선사고대관에서는 '삼국시대 장식대도', '고구려 고분벽화 이야기', '유물로 보는 백제의 대외교류', '신라 이사금 시기에서 마립간 시기로의 사회변동' 등 삼국시대 각국의 사회·문화상을 대표적인 문화유산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제가 마련됐다.
중근세관 고려실 '고려시대 불교문화'에서는 고려의 불교문화가 남긴 문화유산과 역사적 의미에 대해 알아 볼 수 있고, 대한제국실에는 '유리건판과 궁궐사진'이라는 주제가 마련되어 일제강점기 유리건판으로 남겨진 자료와 그 활용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개화기의 신문물'에서는 대한제국 시기 서양에서 들어온 새로운 기술과 문물의 수용에 대한 해설이 이어진다.
서화관 서화Ⅱ실에서는 전시중인 고사인물화를 주제로 구성된 '우리 그림 속 옛 이야기'가 준비돼있고, 불교회화실 '부처의 세계를 보다'에서는 불화가 그려내는 이상세계를 해설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작년 개편하여 개관한 조각공예관 청자실에서는 '도자문화의 시작과 발전'이라는 주제로 우리나라 도자문화의 전반적인 설명을 들으며 전시실을 둘러볼 수 있다.
그 밖에도 'AR 내비게이션으로 만나는 박물관', '젊은 세대가 바라본 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교육상자-도자기' 등 상설전시실 내 곳곳에서 다채로운 주제의 큐레이터와의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관람객과 박물관의 소통 공간인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김구·안중근 등 독립운동가 컬러사진 복원…광화문광장서 만난다
- 한성백제박물관, '도성과 지방성' 연구 담긴 학술총서 발간
- 서울공예박물관, 공예콘텐츠 발굴 위해 청주문화재단과 맞손
- 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 완료…박물관서 만난다
-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콘텐츠 강화…'이건희 컬렉션' 해외 순회전"
- 비발디·치케티의 도시, 베네치아로 떠나볼까…서울역사박물관 18일 공연
- '박물관신문' 50년 기록 한눈에…국립중앙박물관, 아카이브 공개
- 공공한옥 ‘누하동 259’ 전시공간으로…이진경 작가 초대전
- ‘문화유산채널’ 새 단장…키워드 연관 검색 도입
- 국립중앙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개관
- ‘수원화성 축성 주역’ 조심태 초상화, 230년 만에 세상밖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공연예술축제 4월8일 개막
- 한국도자재단, ‘프랑스 메종&오브제’ 전시 참여 작가 모집
-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 전시
- 한국도자재단, 도자기 컵 보급사업 협력사 공모
- ‘2023 아프리카 주간’ 개막…아프리카 문화 한자리에
- 백제인도 구구단을 외웠다고? 부여박물관, 목간 특별전
- 신라고분 정보 한눈에…경주 ‘고분정보센터’ 30일 개관
- 하늘과 땅 잇는 도자기…한국도자재단, ‘신양제기’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