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이 2023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해 오는 19일부터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과 괘불함을 전시한다.
괘불은 사찰에서 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 거는 대형 불화다. 높이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화폭에 부처의 모습을 그려 의식에 사용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매년 사찰에 소장된 괘불을 특별 공개하는데, 올해는 열여덟 번째 괘불전을 맞이해 충청남도 청양 장곡사의 괘불을 소개한다.
‘긴 계곡’이라는 뜻을 가진 장곡사(長谷寺)는 그 이름과 같이 칠갑산의 깊은 계곡 안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조성된 국보 ‘철조약사여래좌상과 석조대좌’를 비롯한 여러 국가지정문화재가 소장되어 역사가 깊은 사찰임을 알 수 있다.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은 조선 1673년(현종 14) 충청남도 청양 장곡사에서 승려와 신도 등 83명의 시주와 후원으로 조성됐다. 삼베 17폭을 옆으로 잇대어 높이 8m, 너비 5m가 넘는 거대한 화폭을 만들었으며, 철학(哲學) 등 5명의 승려 장인이 함께 그렸다. 화면의 중앙에는 거대한 본존불이 화려한 보관을 쓰고 연꽃 가지를 들고 서 있으며, 본존불 좌우로는 불·보살·나한·천왕 등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장곡사 괘불은 화면에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화폭에 그려진 총 39구의 불·보살·권속들 옆에는 모두 붉은색 네모칸을 마련해 이름을 적었다. 화면에 나타나는 도상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각각의 이름을 알 수 있다. 중앙의 본존불 옆에는 ‘미륵존불’이라는 명칭이 적혀 있다. 현재 기록으로 본존불이 미륵불임을 알 수 있는 괘불은 장곡사 괘불과 ‘부여 무량사 괘불’(1627년) 등 단 2점뿐이다. 이번 전시는 10월9일까지다.
- 국립대구박물관, 11일부터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 국립중앙박물관, 매주 수요일 ‘큐레이터와의 대화’
- 국립중앙박물관, 공연예술축제 4월8일 개막
- ‘15분 문화 슬세권’ 1만 곳 조성…문화로 지역소멸 막는다
- 국립중앙박물관, 배우 강훈 홍보대사 위촉
- ‘수원화성 축성 주역’ 조심태 초상화, 230년 만에 세상밖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개관
- '박물관신문' 50년 기록 한눈에…국립중앙박물관, 아카이브 공개
- '이건희 컬렉션 지역순회전', 49만명 관람…내년까지 이어간다
- '외규장각 의궤', 큐레이터 해설로 만난다
- 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 완료…박물관서 만난다
-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 콘텐츠 강화…'이건희 컬렉션' 해외 순회전"
- 도자부터 서예까지…전통문화대 박물관, 기증품 특별전
- 한양도성의 북문을 아시나요?…숙정문 기획전시
- 박물관 보고 선물도 받고…6개 기관 ‘스탬프 투어’
-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 위한 ‘토끼와 호랑이’ 체험 전시
- 서울역사박물관, 창원시와 ‘맞손’…‘꿈꾸는 놀이터’ 공동 전시
- ‘박물관·미술관 주간’, 3일 시작…280곳서 전시·체험
- 신라고분 정보 한눈에…경주 ‘고분정보센터’ 30일 개관
- 日 반출됐던 국보 ‘원주 지광국사탑’, 112년 만에 귀향
- 국립중앙박물관서 즐기는 파키스탄의 리듬…11일 개최
- 국립중앙박물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공연 28일 개막
- ‘상주 안수사명 동종’ 등 6건, 부산시 지정문화재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