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이 2023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해 오는 19일부터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과 괘불함을 전시한다.

괘불은 사찰에서 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야외에 거는 대형 불화다. 높이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화폭에 부처의 모습을 그려 의식에 사용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매년 사찰에 소장된 괘불을 특별 공개하는데, 올해는 열여덟 번째 괘불전을 맞이해 충청남도 청양 장곡사의 괘불을 소개한다.

‘긴 계곡’이라는 뜻을 가진 장곡사(長谷寺)는 그 이름과 같이 칠갑산의 깊은 계곡 안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조성된 국보 ‘철조약사여래좌상과 석조대좌’를 비롯한 여러 국가지정문화재가 소장되어 역사가 깊은 사찰임을 알 수 있다.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은 조선 1673년(현종 14) 충청남도 청양 장곡사에서 승려와 신도 등 83명의 시주와 후원으로 조성됐다. 삼베 17폭을 옆으로 잇대어 높이 8m, 너비 5m가 넘는 거대한 화폭을 만들었으며, 철학(哲學) 등 5명의 승려 장인이 함께 그렸다. 화면의 중앙에는 거대한 본존불이 화려한 보관을 쓰고 연꽃 가지를 들고 서 있으며, 본존불 좌우로는 불·보살·나한·천왕 등이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다.

장곡사 괘불은 화면에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 화폭에 그려진 총 39구의 불·보살·권속들 옆에는 모두 붉은색 네모칸을 마련해 이름을 적었다. 화면에 나타나는 도상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각각의 이름을 알 수 있다. 중앙의 본존불 옆에는 ‘미륵존불’이라는 명칭이 적혀 있다. 현재 기록으로 본존불이 미륵불임을 알 수 있는 괘불은 장곡사 괘불과 ‘부여 무량사 괘불’(1627년) 등 단 2점뿐이다. 이번 전시는 10월9일까지다.

키워드
#중앙박물관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