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가 완료됐다고 23일 밝혔다.
국보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은 하회탈 11점과 병산탈 2점으로 총 13점이다. 안동의 하회마을과 병산마을에서 조선후기까지 하회별신굿탈놀이에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동 하회마을에서 관리하다가 1964년 국보로 지정된 후 국립중앙박물관과 안동시립박물관에서 보관, 관리되어 왔다.
한국의 가면은 대개 바가지나 종이로 만든 것이 많은데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은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종이를 바른 다음 안료를 칠해 색을 낸 것이 특징이다. 2020년 정기조사 당시 시간이 흘러 표면에 이물질이 두껍게 달라붙어 있거나 일부 안료가 들뜨고 나무가 갈라지는 등 부분적으로 손상이 확인되어 보존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됨에 따라, 기탁자인 하회마을보존회와 협의 하에 2021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정밀 상태조사와 과학적 분석, 보존처리를 진행했다.
현미경으로 탈의 수종을 분석한 결과, 하회탈 중 주지(암, 수) 2점은 소나무류로 확인됐고 나머지 하회탈 9점과 병산탈 2점은 기존에 오리나무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실제로는 버드나무속 목재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적 조사 이후에는 탈의 표면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건식과 습식 방법으로 세척을 진행했으며 들뜬 안료 표면에 저농도 아교를 도포하는 안정화 작업, 갈라진 목재의 접합, 결손부 복원의 순서로 보존처리했다.
특히 결손부 복원은 곤충에 의해 손상된 부분과 과거에 손상되어 보수된 부분 중 열화된 재료를 제거한 후 에폭시 수지를 복원재로 새로 채워 넣었다. 마지막으로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병산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전시하기 위해 3차원 출력 기술을 활용해 가볍고 안전한 받침대를 제작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 내용을 담은 보존처리 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보존처리를 마친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은 안동시립박물관 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다.
- 경주문화재연구소, 불교중앙박물관-불교문화재연구소와 MOU
- 발굴조사서 나온 인골·미라도 연구·보관…사업 본격 추진
- "문화유산 정보, 이제 ‘문화유산 지식e음’에서 만나요"
- 조선왕릉 봉분 규모가 점차 축소된 까닭은…연구 보고서 발간
-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유영기 보유자 별세
- 옛 부산근대역사관, 인문학 복합문화 공간으로 새 단장
- 화성행차도, 디지털로 만난다…국립대구박물관, 21일 공개
- 창경궁 관람권 디자인, 20년 만에 바꾼다
- 한성백제박물관, '도성과 지방성' 연구 담긴 학술총서 발간
- 노들섬에 유튜버 '에그박사' 뜬다…특별 전시 개최
- '외규장각 의궤', 큐레이터 해설로 만난다
- 창덕궁의 으뜸전각 ‘인정전’, 3일부터 내부 관람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보고 듣고 배우는 '톡톡 콘서트' 개최
- 광화문 앞 일제강점기 전차철로 발견…16일부터 공개
- '박물관신문' 50년 기록 한눈에…국립중앙박물관, 아카이브 공개
- 국립중앙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개관
-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청양 장곡사 괘불’ 전시
- 국립문화재연구원, 4개 기관과 가속질량분석기 연구 협력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