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Whisk
사진=Whisk

이재명 정부가 기획재정부 조직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줄줄이 공석인 국책은행장 인선이 언제 마무리될지 주목된다. 기재부 조직 정립이 선행돼야 금융당국 조직도 안정화되고 은행장 선임 절차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책은행들은 이번 조직개편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열고 기재부에서 예산 기능을 분리해 기획예산처를 신설하는 등의 조직개편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재부의 예산 편성 기능을 국무총리실 산하 기획예산처로 이관하고 금융위원회의 정책·감독 기능을 분리하는 방안이 핵심이다.

국책은행들은 국정위의 조직개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직개편이 마무리돼야 국책은행장 인선도 속도를 낼 수 있어서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이 제청하고 수출입은행장은 기재부 장관이 제청해 대통령이 임명하는 구조다.


국책은행장 공석 장기화…정책 추진력 약화 우려


현재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장 자리는 공석이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6월 초 3년 임기를 마쳤고 윤희성 수출입은행장도 지난 7월26일 임기를 종료했다.

김성태 IBK기업은행장도 내년 1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관례상 올해 12월쯤 차기 행장 선임 절차에 돌입할 필요가 있으나 절차가 속도를 내지 못할 경우 대행체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복수의 금융권 관계자들은 "기재부와 금융당국 조직개편안이 확정되고 당국 수장 인선이 마무리돼야 국책은행장들의 인선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면서 "10월 국정감사 일정과 인선 절차를 고려하면 국책은행장 선임은 올해를 넘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수은·기은, 내부 출신 행장 선임 흐름…산업은행은 예외


최근 국책은행에서는 내부 출신 행장 선임이 이어지고 있다. 수출입은행의 윤희성 전 행장이 역사상 첫 내부 출신 수장이 됐고 IBK기업은행도 2010년대 이후 5명의 행장 중 4명이 내부 출신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외부 인사 선임 배경에는 기재부 등 정부와 긴밀한 소통이 필요했기 때문"이라면서도 "국책은행장 자리는 소위 정부의 '비위'를 맞춰야 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내로라하는 관료 출신 인사들은 행장 자리에 크게 메리트를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산업은행은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경제·정책 특보 등 대통령 측근 외부 인사가 행장 직에 올랐다. 특히 이재명 정부가 100조 AI펀드·첨단산업 육성을 외치고 있고 동남투자은행 설립에도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출자를 요구하는 만큼 이재명 정부와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는 외부 인사 선임이 유력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재부 조직개편안을 두고 금융권 반발도 예상되지만 결국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인사 초점은 내·외부를 떠나 정부 입맛을 맞춰줄 수 있는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