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로고.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로고. 사진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는 교육부와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초등학교 학교체육 활성화 및 전문체육 저변 확대 등을 논의하는 '문체부-교육부 학교체육 정책협의체'를 연다고 4일 밝혔다.

협의체는 지난 4월 초등학교 1~2학년 체육 교과를 기존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 분리해 신설하기로 결정한 것을 계기로 마련됐다. 협의체는 장미란 문체부 제2차관, 오석환 교육부 차관 등이 참여한다.

협의체는 체육 교과 분리 운영에 대비한 체육전담교사 배치, 시설 확충, 교원 대상 체육 연수 확대 등 초등학교 체육수업 전문성을 높일 방안과 학생건강체력평가(PAPS) 및 '국민체력 100'의 측정항목 일원화 방안 등을 논의한다.

더불어 현행 최저학력제 및 대회·훈련 참가 시 출석 인정 일수 제도 개선 등 학생선수 지원 강화도 논의한다. 지정스포츠클럽과 학교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한 전문선수 발굴체계 구축,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바탕으로 생활체육과 전문체육간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 등도 살필 예정이다.

문체부와 교육부는 향후 협의체를 정례화해 운영하고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 안건을 더욱 구체화할 예정이다.

장 문체부 제2차관은 "학교체육은 아이들의 체력을 증진하고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공정한 경쟁과 협력 등의 가치를 가르치고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밑거름"이라며 "학교체육이 일반 학생들의 스포츠 참여 확대와 동시에 전문선수 발굴 및 육성의 장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