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임 판소리 기술 보유자의 전승자 주관행사. 사진 = 국가유산청
정순임 판소리 기술 보유자의 전승자 주관행사. 사진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진흥원과 오는 7월 전국 각지와 해외에서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와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는 7월 총 8개의 종목이 예정돼 있다. 지역별로 △서울(△'가야금 산조 및 병창' △'북청사자놀음' △'경기민요' △'두석장') △경상북도 예천(△'궁시장') △인천(△'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이 열린다.

서울 공연은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와 서울 종로구 갤러리 마롱에서 열린다. 민속극장 풍류에서는 7월 5일 '가야금 산조 및 병창', 13일 '북청사자놀음'이 열리고, '경기민요'는 11일과 14일 두 번에 걸쳐 열린다. 갤러리 마롱에서는 7월 25일부터 27일까지 목가구 자물쇠 등 금속제 장식인 장석을 만드는 '두석장' 전통기술 시연 및 전시가 열린다.

경북 예천에서는 오는 7월 5일부터 7일까지 예천박물관에서 활과 화살을 만드는 '궁시장' 기술 시연이 열리며, 인천에서는 마을의 평안과 풍어를 기원하는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이 소래포구 수협공판장에서 같은 기간 열린다.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는 전승자가 자유롭게 기획하는 무형유산 공연 및 전시로, 7월에는 총 28건이 준비돼 있다. 지역별로 △서울(민속극장 풍류) △충청남도 서천 △충청북도 청주 △경상남도 양산 등과 찾아가는 공연 10건, 해외행사 7건이 예정돼 있다.

민속극장 풍류에서는 △'매듭장'(7월 2일~10일) △'거문고산조'(7월 6일/12일) 등 기예능 시연 및 공연이 열린다. 충남 서천에서는 모시짜기 과정을 관람할 수 있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한산모시짜기'가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문헌서원에서 열린다.

충북 청주에서는 7월 21일부터 23일까지 청추시금속활자전수교육관에서 '금속활자 과거에서 미래로'라는 주제의 △'금속활자장' 전시가 열린다. 경남 양산 한국궁중꽃박물관에서는 7월 22일부터 31일까지 윤회매(輪回梅, 밀랍으로 만든 매화)를 주제로 한 △'궁중채화' 전시가 열린다.

찾아가는 무형유산 행사는 '통영오광대' 등이 예정돼 있고, 해외 행사는 중국 북경에서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열리는 '피리정악 및 대취타' 등이 예정돼 있다. 상세 일정 및 자세한 사항은 국가유산청 누리집 및 국가유산진흥원 전화 문의 등으로 확인 가능하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