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항일 운동을 이끈 의병장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7)의 단령(團領) 등 총 5건을 '면암 최익현 관복 일괄'로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한다고 1일 예고했다.
지정 대상은 단령, 사모(관모), 삽금대(허리띠), 호패, 목화(관복에 착용하는 신발) 등 총 5건으로, 19세기 후반기 복식 연구 및 공예 기술과 재료 연구를 위한 실증적 자료의 가치가 높다.
단령은 최익현이 당하관(堂下官)이던 시기(1855~1870)에 착용한 것으로, 조선 후기 전형적인 당하관용 흑단령(黑團領)의 형태와 제작 양식을 지니고 있다. 사모는 최익현이 당상관 관직을 받은 1870년 이후의 것으로, 조선시대 사모 제작 기술과 기본 재료를 확인할 수 있다.
삽금대는 개항기 조선에 소개된 셀룰로오스 나이트레이트(Cellulose nitrate)로 추정되는 신소재로 제작한 모조 대모(玳瑁) 재질의 띠돈을 부착하여 제작해, 19세기 말 공예 기술 변화 양상을 대변한다. 호패는 1855년 제작된 것이며, 목화는 1870~1880년대 제작된 것으로 신의 밑창이 앞코까지 올라오는 형태에서 평평한 형태로 변화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지정 예고에 대해 30일간 예고 기간을 거쳐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지킴이 63번째 협약 기관 스마일게이트 선정
- '노트르담 성당 AR로 만난다' 국립고궁박물관 디지털 특별전 개최
- 국가유산청 '정선 필 북원수회도첩' 등 5건 보물 지정
- 국가유산청, 7월 전승자 주관·무형유산 공개행사 개최
- 국가유산청 '한-아세안 문화유산 협력 국제회의' 개최
- 국가유산청, 관련 업무 안내할 '국가유산 행정 가이드북' 발간
- 경주 쪽샘지구 유적서 '둘레돌' 없는 첫 돌무지덧널무덤 발견
- 한국전통문화대, 총장공관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학교'로 재조성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수리용 전통재료 3분야 '인증제' 도입한다
- 국가유산청, 무형유산 이수자 참여한 '이수자뎐' 공연한다
-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전남 서남권 해양 발전 위한 학자대회 개최
- 국가유산청, 현존 최고(最古) 공신초상화 '신숙주 초상' 국보 지정예고
- '창경궁 자격루 누기' 등 52건 유산 보존 과정 담은 보고서 3일 발간
- 국가유산청, 경북 고령군 '다섯 번째 고도(古都)' 신규 지정 의결
- 국가유산청, 근대건축유산 현장 답사 프로그램 개최
- 국립민속국악원, 초등학생 국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 국가유산청, 경주 첨성대 주제 '국제 학술대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