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한국게임산업협회와 함께 ‘2023 글로벌 게임 정책·법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영국과 독일, 프랑스, 스페인, 네덜란드, 벨기에 등 서유럽 6개 국가를 대상으로 국내 게임 수출 시 검토가 필요한 현지 법률과 국가별 문화·역사에 따른 표현에 대한 주의사항을 다룬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허가의 경우 조사 국가 중에서는 해외사업자가 게임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중국의 판호(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에 해당하는 허가를 받아야 하는 나라는 없었다. 게임 수출을 위해 현지 대리인을 지정하거나 해당 국가 서버를 설치할 의무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게임이 도박성 위험이 있다고 판단될 시 별도 허가가 필요했다.
등급분류의 경우 영국, 독일, 프랑스는 디스크와 같은 실물이 제공되는 게임에 대해 등급분류를 받을 의무가 있으며, 그 외 온라인 및 모바일로 유통되는 게임에 대해서는 등급분류를 받을 법적 의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 국가 대부분은 유럽 게임 등급위원회 PEGI(Pan European Game Information)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고, 독일의 경우는 자율기구(USK· Unterhaltungssoftware Selbstkontrolle) 분류체계를 따르고 있었다.
게임 콘텐츠 내 주의사항으로 독일은 나치 기호 및 나치 치하에서 자행된 행위를 미화하거나 정당화하는 콘텐츠가 금지됐으며, 그 외 국가들도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혐오, 명예훼손, 아동 성적학대 등과 관련된 콘텐츠를 금지하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는 국가마다 차이가 있었다. 영국, 독일,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법적 규제가 없으나, 영국과 네덜란드는 이용자가 확률형 아이템을 얻거나 개봉하기 전에 확률을 공개할 것을 권고했다. 벨기에는 도박법을 적용해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금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P2E 게임은 6개국 모두 도박에 해당하지 않는 한 별도 규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게임 아이템을 NFT화하는 것도 금융상품으로 간주되지 않는 한 별도 규제 대상이 아니었다. ‘2023 글로벌 게임 정책·법제 연구’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콘진원 누리집에서 무료로 확인할 수 있다.
- 콘진원, 문화체육관광 상시 기술수요조사 실시
- 콘진원, ESG·감사·청렴 3개 분야 수상
- 콘진원, 구글·마플샵과 3자 파트너십 구축
- 문체부, ‘콘텐츠 IP 마켓’서 해외 진출 협업 논의
- K-콘텐츠 숨은 주역은 누구?…제작스태프 19명 포상
- 콘진원, 아이디어 융합팩토리 기획전 진행
- K-콘텐츠 투자유치 돕는다…‘케이녹 데모데이’ 10개사 참가
- ‘국제방송영상마켓’ 16일 개막…콘진원 “역대 최대 규모”
- 콘진원,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3’ 개최
- 미래 게임 개발자는 누구? 콘진원, ‘대한민국 게임잼’ 개최
- 콘진원, 환경의 날 맞이 ‘가치, 그린 캠페인’ 실시
- 콘진원 지원 K-애니 ‘샤샤&마일로’, 중국·남미 방영 확정
- “음원 사재기·공연 암표 OUT” 콘진원, 김태원 홍보대사 위촉
- 콘진원, 카자흐스탄서 ‘코리아 스포트라이트’ 개최
- 콘진원, 상해TV페스티벌서 4년 만에 韓공동관 운영
-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매출액 69조…음악·영화 성장세
- 한국형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과제는
- 인도네시아 한류 홍보관에 165만명 ‘발길’
- K-게임 가장 많이 이용한 나라는 브라질·인도·사우디
- K-콘텐츠 스타트업 美 진출 초석…콘진원, CES 코카 나이트 성료
- 콘진원, 2024년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사업 공모
- 콘진원, 부패방지·준법경영시스템 통합인증 획득
- 부산의 자부심 담았다…'2023 갓생림픽' 전자책 발간
- 콘진원, 북미 최대 마켓서 'K-애니' 5천만 달러 수출상담 성과
- 차세대 K-콘텐츠 한자리에…콘진원 'NCA 프로젝트 쇼케이스'
- 문체부·콘진원, '콘텐츠 스타트업 지원사업' 참여 기관 공모
- 콘진원 미디어아트 '더 키네틱', 獨 'iF 디자인 어워드' 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