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상반기 콘텐츠산업의 매출액이 69조3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하 콘진원)은 3일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콘텐츠산업 11개 분야 1500개 사업체의 실태조사 및 159개 상장사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수출·고용 등 주요 산업규모를 포함한 2023년 상반기 주요 동향을 분석했다.
2023년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약 69조3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부터 회복하는 추세가 이어지며 ▲음악(15.2%) ▲영화(12.3%) 산업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고 ▲애니메이션(8.6%) ▲만화(6.0%) 산업이 그 뒤를 따랐다.
음악산업은 K-팝 팬덤 중심의 실물 음반 시장 활성화 및 포토카드, 화보집 등 관련 상품 수집 증가로 대형 엔터테인먼트사 중심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반면, 영화산업의 매출액 증가는 전년 대비 올 상반기 개봉작 수가 늘어 발생한 것으로, 매출 규모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약 53억9000만 달러로 파악됐다. 특히 ▲만화(71.3%) ▲출판(31.7%) ▲음악(29.2%) 산업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국내 콘텐츠산업의 수출 규모 확대를 견인했다.
국내 콘텐츠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한 61만7000여명으로 파악됐다. ▲애니메이션(6.9%) ▲만화(5.1%) 분야의 종사자는 증가했으나, ▲영화(-4.9%) ▲방송(-3.2%)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주요 거시경제 동향, 콘텐츠사업체 경영 체감도, 기업 현황 분석 등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환경 변화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2023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는 콘진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콘진원, ‘글로벌 게임 정책·법제 연구’ 보고서 발간
- 콘진원, 문화체육관광 상시 기술수요조사 실시
- 콘진원, ESG·감사·청렴 3개 분야 수상
- 콘진원, 구글·마플샵과 3자 파트너십 구축
- K-패션 세계화의 장…롯데백화점의 특별한 팝업 '모드 엣 서울'
- 문체부, ‘콘텐츠 IP 마켓’서 해외 진출 협업 논의
- K-콘텐츠 숨은 주역은 누구?…제작스태프 19명 포상
- 역대 최고 경쟁률…‘콘텐츠대상 스토리부문’, 수상작 발표
- 콘진원, 아이디어 융합팩토리 기획전 진행
- K-콘텐츠 투자유치 돕는다…‘케이녹 데모데이’ 10개사 참가
- 영국 사치갤러리서 한국 신기술융합콘텐츠 80종 전시
- 가수 이미자, 대중음악인 최초 금관문화훈장 받는다
- ‘국제방송영상마켓’ 16일 개막…콘진원 “역대 최대 규모”
- 문체부, K-콘텐츠 미국·유럽·중동 진출 확대 전략 논의
- 한국형 글로벌 영상 제작 허브화를 위한 과제는
- 디즈니 신작 ‘위시’, 첫날 11만 관객…‘노량’ 꺾고 1위
- 인도네시아 한류 홍보관에 165만명 ‘발길’
- K-게임 가장 많이 이용한 나라는 브라질·인도·사우디
- 예스24 ‘구름에 달 가리운 방금 전까지 인간이었다’ 선공개
- K-콘텐츠 스타트업 美 진출 초석…콘진원, CES 코카 나이트 성료
- 빌보드, 6월 한국 상륙…‘빌보드 코리아’ 론칭
- 베스트셀러 ‘벌거벗은 한국사: 영웅편’, 오디오북으로 만난다
- 콘진원, 2024년 문화체육관광 연구개발사업 공모
- 콘진원, 부패방지·준법경영시스템 통합인증 획득
- K-북 해외 진출에 78억 투입…지난해比 14.7% ↑
- 김혜순 '날개 환상통',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2개 부문 최종 후보
- 콘진원, 북미 최대 마켓서 'K-애니' 5천만 달러 수출상담 성과
- 세종책문화센터, 출판문화강좌 수강생 모집
- 차세대 K-콘텐츠 한자리에…콘진원 'NCA 프로젝트 쇼케이스'
- 웹툰IP로 글로벌 K-게임 육성…'웹툰 게임스' 2기 공모
- 문체부·콘진원, '콘텐츠 스타트업 지원사업' 참여 기관 공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