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묘 신실에 봉안되어 전승된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이 보물로 지정된다.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조선왕조의 의례에 사용된 인장과 문서다. 어보・어책・교명은 해당 인물 생전에는 궁궐에 보관했고, 사후에는 신주와 함께 종묘에 모셔져 관리됐다.
어보란 국왕・왕세자・왕세제・왕세손과 그 배우자를 해당 지위에 임명하는 책봉 때나 국왕・왕비・상왕・왕대비・대왕대비 등에게 존호, 시호, 묘호, 휘호 등을 올릴 때 제작한 의례용 인장이며, 어책은 어보와 함께 내려지는 것으로 의례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의미,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신분과 재질에 따라 어보는 금보・옥보・은인 등으로, 어책은 옥책・죽책・금책으로 구별했다. 교명은 왕비・왕세자・왕세자빈・왕세제・왕세제빈・왕세손・왕세손빈 등을 책봉할 때 내리는 훈유문서로 그 지위의 존귀함을 강조하며, 책임을 다할 것을 훈계하고 깨우쳐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어보 318과, 어책 290첩, 교명 29축 총 637점으로 제작 시기의 하한은 1910년까지로 했다. 제작의 주체는 조선왕실 및 대한제국의 황실이며, 일제강점기 제작된 것은 지정 대상에서 제외했다. 또 인물의 범위는 종묘 정전 19실과 영녕전 16실에 봉안된 국왕과 왕비가 수여받은 어보, 어책, 교명만을 대상으로 했다. 국왕이 되지 못한 왕세자와 국왕을 낳은 후궁 등 종묘에 봉안되지 못한 인물은 제외했다.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은 세계사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독특한 왕실문화를 상징하는 유물로서 500여 년간 거행된 조선 왕실 의례의 통시성과 역사성을 보여준다. 더불어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및 조선왕실의궤 등 왕실 의례와 관련된 문헌 기록이 온전히 남아 있어 왕실 의례의 내용과 성격, 의례의 절차와 형식, 의례에 사용된 의의 제작자 및 재료와 도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학술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또한 국왕이나 왕비의 권위와 위엄을 상징하는 의물로서 당대 최고의 문장가인 제술관이 문장을 짓고 명망 높은 서예가인 서사관이 쓰고 각 분야에서 20~30년간 장기간 활동하면서 그 솜씨를 인정받은 관영이나 군문 소속 최고 장인들이 제작한 조형예술품의 백미로서 예술적 가치가 높다. 지난 2017년 유물의 진정성과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한편, 문화재청은 ‘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외에 근묵(槿墨), 아미타여래구존도(阿彌陀如來九尊圖),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順天 桐華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등 서첩 및 조선시대 불화, 불상 총 4건에 대해서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 조선 선비들 뱃놀이 담은 ‘독서당계회도’ 보물 됐다
- 현존 최고 금속활자 ‘직지’, 반세기 만에 실물 공개
- 복숭아꽃에 담긴 정조의 효심…창경궁 어버이날 행사
- “임시정부와 독립운동 역사, 메타버스로 체험하세요”
- 국립대구박물관, 11일부터 ‘이건희 컬렉션’ 특별전
- 천마총 발굴 50년…특별전·학술대회 등 12개 기념 행사
- 국립고궁박물관, ‘과학문화’ 상설전시 해설영상 공개
- 490년 전 조선 산수화 '독서당계회도' 보물 된다
- 한글로 쓴 가장 오래된 편지 ‘나신걸 한글편지’ 보물 지정
- '이건희 컬렉션 지역순회전', 49만명 관람…내년까지 이어간다
- 조선시대 왕실 원당 '고성 건봉사지' 사적 지정
- ‘무단 훼손’ 김해 구산동 지석묘서 청동기 주거지 확인
- “고양 서삼릉에서 조선왕실 태실 문화 배워요”
- 어린이들이 만난 해양문화유산…공모전 수상작 전시
- 신라 군사요충지 ‘대구 팔거산성’, 사적 된다
- 대학 박물관에 묻혀 있던 유물, 세상 밖으로…전시 개최
- 문화재청-서울관광재단, 장애인 관람환경 조성 위한 MOU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유력
- 4·19혁명·동학농민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추사 김정희의 마지막 난초 그림 보물 된다
- 유물 수장고 ‘예담고’, 전주 신리터널서 9월 문 연다
- ‘상주 안수사명 동종’ 등 6건, 부산시 지정문화재 지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