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사)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와 함께 ‘2023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우수활동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총 12팀을 선정해 시상했다고 4일 밝혔다.
2011년부터 시작해 올해 13기를 맞은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활동은 해마다 주제를 선정해 청년들이 세계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세계유산 보호를 위한 홍보, 교육, 팬 상품 제작, 점검, 답사, 전시 등의 활동을 실천하는 미션형 세계유산 보호 사업이다.
13기 청년 지킴이들은 올해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가야고분군’을 비롯해 창덕궁, 조선왕릉, 백제역사지구, 성산일출봉, 한국의 갯벌, 판소리, 대목장, 김장문화, 한국의 탈춤, 일성록, 난중일기, 우포늪(잠정목록) 등 다양한 유네스코 유산을 주제로 한 팬 상품 제작, 문화유산 쓰담 달리기 활동, 각종 정책 제언, 시민 대상의 교육,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홍보 등으로 세계유산을 알리는 활동을 펼쳤다.
지난 1일 대전 호텔인터시티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총 20개 팀(80명)의 지난 7개월간의 세계유산 지킴이 활동성과를 함께 돌아보고, 우수사례를 선정해 시상했다. 심사 결과 문화재청장상(대상 1, 최우수상2)에는 각각 일성록과 기록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한 ‘무슨 일 일성’팀(대상), 탈춤을 통해 ‘내면의 나’를 성찰해보는 활동을 수행한 ‘탈탈몽’(최우수상), 한국의 김장문화 홍보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친 ‘케이벌시티(K-Versity)’(최우수상)가 선정됐다.
이외에도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상(2),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장상(2),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상(2), 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장상(3)까지 총 12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지킴이단체연합회는 “앞으로도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활동을 더욱 활성화시켜, 미래의 주역인 젊은 세대가 우리 유산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보존·활용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유산 남한산성 외성 재개방…보수 공사 완료
-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서 삼국시대 수혈식 석곽묘 확인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영국서 만나는 한국 전통문화…‘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특별행사
-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미공개 청심정·빙옥지 개방
- ‘피란수도 부산’·‘전남 갯벌’,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록
- 가야 시대 ‘로만글라스 유리’는 어떻게 유통됐을까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기념 강좌 운영
- ‘어린이 제관’ 되어 조선왕실 제례 체험해볼까
- 4대궁·종묘·왕릉, 추석 연휴기간 무료 개방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한국 16번째 등재
- 백제인 토목기술 확인될까…공산성 추정 왕궁지 조사 착수
- ‘문화재지킴이 전국대회’, 8~9일 제주 개최
- 문화유산 현장관리자의 눈으로 본 세계유산…9~12일 사진전
- 수원시, '2023수원 세계유산도시 포럼' 개최
-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해석설명센터장에 홍창남 씨
- 문화유산 국제협력의 성과와 과제는?…30일 학술토론회
- 문화재청,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10주년 체험 행사
- 조선 왕비 인장 ‘내교인’, 서울시 유형문화재 지정
- 바다서 건져 올린 보물 ‘닻돌’…연구보고서 발간
- 교과서 속으로 무형유산 체험 여행 떠나요
- 문화유산 보호 은관문화훈장에 김삼대자·김현곤 씨
- 문화재청, 국가유산 미래비전 선포식…6대 전략 공개
- 日서 환수한 고려 나전상자, 800년 베일 벗는다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선박 연구성과’ 영문판 발간
- 세계 속의 아리랑, 국악·재즈·클래식으로 만난다
- 옥장·탕건장·두석장…전승공예품 한자리에
- 한국문화재재단, 유네스코 무형유산 자문기구 재인가
-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에 이영분 작가…수상작 131점 전시
- 공룡 아래턱 화석 첫 공개…‘지질유산 연구’ 특별전
- 전통문화대-이코모스 한국위, ‘세계유산 인재 양성’ 협력
- ‘지역문화유산 활용 우수사업’, 광주문화재야행 등 선정
- 국립무형유산원, ‘아리랑’ 역사 담긴 기록영상 공개
- 문화재청,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 부여 관북리 유적서 칠피갑옷 출토…"백제 멸망의 혼란상 나타내"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완성도 검사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