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는 세계유산 남한산성 외성(봉암성) 보수 공사가 완료돼 다시 개방됐다고 1일 밝혔다.
남한산성은 크게 본성과 외성으로 구분되는데 1624년 급격히 세력을 키우던 후금의 침략에 대비해 쌓은 성(길이 9.05㎞)이 본성이다. 외성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 방어의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1686년 남한산성 본성 동쪽에 새로 쌓은 성이다.
외성은 봉암성이라고도 부르는데 길이 2120m, 암문(적이 알지 못하게 만드는 비밀 출입구) 4개소, 포루(포를 설치해 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든 시설) 2개소, 치(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성벽으로 접근하는 적을 입체적으로 공격하는 시설) 1개소로 이뤄졌다.
외성은 처음 성을 쌓은 이후, 300여년간 거의 보수되지 않고 점차 국가의 관심 밖으로 사라져 버려 지금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흔적만이 남아 있었다. 이에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는 세계유산 남한산성의 가치와 진정성, 완전성을 회복하고자 보수 공사를 추진했다.
2022년 6월 시작된 보수 공사는 관계 전문가들의 지속적인 자문과 함께 국내 문화유산 보수 공사에서는 드물게 처음 성을 쌓았을 당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자재(성돌, 기와, 전돌 등)들을 오랜 시간에 걸쳐 발굴하고 채집해 재사용했다.
훼손이 심해 원형을 알 수 없는 구간에 대해서는 현 상황 그대로 최소한의 보수를 하는 등 문화유산의 원형보존 원칙을 철저히 준수해 시행한 것이 특징이다. 전체 2.1㎞ 중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구간을 약 200m에 걸쳐 여장 50타, 암문 2개소, 치 1개소, 성벽 6개소 등을 보수했다.
김천광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소장은 “약 1년 반의 보수 공사를 마무리하고 봉암성이 다시 개방돼 기쁘다”라며 “이번 공사는 외성 전 구간에 대한 식생 정비도 같이 실시돼 향후 보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측량, 설계 등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서 삼국시대 수혈식 석곽묘 확인
-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인증서 전달식 개최
- EBS·창녕군, 지역 활성화·인재 육성 위해 ‘맞손’
- 한국,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 선출
- 문화재청, ‘세계유산 해석설명 국제토론회’ 개최
- 세계유산 남한산성 북문 보수 2년 만에 완료…11월부터 개방
- 영국서 만나는 한국 전통문화…‘문화유산 방문 캠페인’ 특별행사
- 창덕궁 ‘왕의 숲길 걷기’ 행사…미공개 청심정·빙옥지 개방
- ‘피란수도 부산’·‘전남 갯벌’,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록
- 가야 시대 ‘로만글라스 유리’는 어떻게 유통됐을까
- 국립김해박물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기념 강좌 운영
- ‘어린이 제관’ 되어 조선왕실 제례 체험해볼까
- 유네스코 신규 세계유산에 가야고분군 등 42건 등재
- 드론쇼부터 문화강좌까지…조선왕릉문화제, 13일 개막
- 4대궁·종묘·왕릉, 추석 연휴기간 무료 개방
- 연구자료 속 문화유산 사진, AI로 찾는다
-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경진대회’, 총 12팀 수상
- '반구천의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완성도 검사 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