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가 800년의 베일을 벗는다.

문화재청은 6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을 통해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언론에 공개한다.

이번에 환수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일본 개인 소장가의 창고에서 100여년 이상 보관돼 최근까지 일본에서조차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유물로, 지난해 7월 재단의 일본 현지 협력망을 통해 최초로 확인됐다. 이후 문화재청과 재단은 1년여간의 조사와 협상 끝에 지난 7월 마침내 환수에 성공했다.

문화재청은 “현존하는 고려 나전칠기가 전 세계 20건에도 못 미치고, 그 대부분이 외국에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문양과 보존상태가 고려나전을 대표할 만큼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동안 학계에 전혀 알려지지 않은 유물을 발굴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매우 크다”라고 설명했다.

나전칠기는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이다. 목재, 옻칠, 자개,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며, 작게 오려낸 자개를 일일이 붙여 꽃과 잎의 문양을 장식하는 등 고도의 정교함과 복잡한 제작과정을 거쳐 완성되기 때문에 ‘공예 기술의 집약체’ 라고도 일컬어진다.

특히, 고려의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미술공예품으로 손꼽혀 왔다. 12세기 고려에 사신으로 왔던 송나라의 서긍은 고려도경에 “나전 솜씨가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라고 기록했으며, 고려사(高麗史)에도 이미 11세기에 고려 조정이 송, 요 등 외국에 보내는 선물 품목에 나전칠기가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13세기 작품으로 추정되며, 고려 나전칠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유물로, 고려 나전칠기의 대표적인 문양인 국화넝쿨무늬, 모란넝쿨무늬, 연주(連珠)무늬가 고루 사용됐다. 전체 면에 자개로 약 770개의 국화넝쿨무늬를 장식하고, 천판(뚜껑 윗면) 테두리의 좁은 면에는 약 30개의 모란넝쿨무늬를 배치했으며, 외곽에는 약 1670개의 연주무늬가 촘촘히 둘러져 있는 등 사용된 자개의 수가 약 4만5000개에 달한다.

또한 C자형 금속선으로 국화꽃무늬를 감싸고 있는 넝쿨줄기를 표현했고, 두 선을 꼰 금속선으로 외곽 경계선을 표현했다. 국화꽃무늬는 중심원이 약 1.7mm이며, 꽃잎 하나의 크기는 약 2.5mm에 불과한데, 꽃잎 하나하나에 음각으로 선을 새겨 세부를 정교하게 묘사했다. 특히, 나전 본래의 무지개 빛깔과 광택이 살아있어 오색의 영롱함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나전과 금속선 등 장식 재료의 보존상태도 현재까지 알려진 고려나전 중에서도 매우 탁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한편, 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으로 추진됐다.

키워드
#문화재청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