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의 의궤를 실감콘텐츠로 만나는 전시가 열린다.
문화재청은 한국문화재재단과 함께 오는 23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월요일 휴궁일 제외) 창경궁 통명전에서 실감 체험전시 ‘무신년, 만세의 술잔을 올리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 기록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의궤에 첨단 기술을 접목해 실감콘텐츠로 재현하는 ‘실감의궤’ 제작 사업의 첫 번째 콘텐츠인 ‘실감의궤 : 연향’을 만나볼 수 있다.
’실감의궤 : 연향‘은 ‘궁중연향’을 주제로 헌종이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육순과 신정왕후 망오(望五)를 경축하기 위해 헌종 14년인 1848년 창경궁 통명전에서 베푼 연향인 ‘무신진찬연’을 기록한 ‘헌종무신진찬의궤’를 증강현실(AR)과 컴퓨터그래픽(CG) 영상으로 재현한 콘텐츠다.
‘무신진찬연’은 헌종 재위기간에 치러진 유일한 연향으로 왕실 여인이 참여한 연향인 ‘내진찬’과 야간에 거행된 궁중연향인 ‘야진찬’으로 이루어진다. 이번 전시에서는 두 가지 연향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
전시장에는 관람객이 보다 몰입감을 느끼며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무신진찬연이 행해졌던 창경궁 통명전을 1/34 사이즈로 축소한 실사모형을 배치했다. 실사모형을 배경으로 순원왕후의 육순을 축하하는 하례 절차와 순원왕후에게 올렸던 정재무 중 향령무, 무고, 선유락 공연을 증강현실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그래픽 영상으로 진찬연의 공간, 헌종과 순원왕후의 연향 참여 모습, 야진찬 때의 화려한 왕실 조명 등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궁중 연향을 왕실 안에서의 행사만으로 끝내지 않고, 연향 후 쌀을 나눠주어 백성과 기쁨을 함께한 것에 착안해, 체험전시 관람 후 현장에서 퀴즈의 정답을 맞힌 관람객 총 1000명에게 선착순으로 소포장된 쌀을 선물로 증정하는 행사도 진행된다.
- 도난당한 불교 문화유산, 제자리로…문화재청, 조계종에 반환
- 일제강점기 훼철된 ‘덕수궁 돈덕전’ 재건 완료…9월 개관
- 4·19혁명·동학농민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문화재청, 국보‧보물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200년 전 조선왕실 밤 잔치…21일 창경궁서 재현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다시 마주한 우리 땅…日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전시
- 조선왕릉 홍유릉 둘러보며 역사 해설 듣고 공연까지
- 무형문화재 ‘고성농요’ 김석명, 명예보유자 인정
- 세종대왕 탄신 626돌…15일 숭모제전·영릉 무료 개방
- 가야고분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유력
- 문화재청-서울관광재단, 장애인 관람환경 조성 위한 MOU
- 자연 속 역사 체험…조선왕릉 숲길 9곳 한시 개방
- 강화 ‘하점면 사직골 고택’, 시 등록문화재 등록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천연기념물센터, ‘어린이 해설사’ 3년 만에 재개
- 청계천에서 만나는 새만금…31일까지 사진전
- 광화문 앞 공간, 조선 전기부터 활용…유물 추가 발굴
- 문화유산 수리 현장 공개…서산 해미읍성 등 14곳
- 집으로 배송되는 문화유산 도서, 신규 1만4000권 공개
- 서울역사박물관, ‘상하이 은빛 보물’ 특별전
- 동구릉 ‘비밀의 정원’ 열린다…17일 특별 개방
- 비석의 용·거북, 어린이용 문화유산 학습콘텐츠로 재탄생
- 문화재청, 군산에 수중고고학 인력 양성기관 건립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