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이 국가무형문화재 ‘고성농요’ 보유자 김석명(84) 씨를 명예보유자로 인정하고, ‘경기민요’ 보유자로 김혜란(72) 씨와 이호연(67) 씨를 인정 예고한다고 12일 밝혔다.
김석명 씨는 1992년에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되어 전승자 육성과 무형유산의 보급을 위해 오랫동안 헌신해왔으나, 최근 건강상의 이유로 전승활동에 어려움이 있어 그간의 공로에 대한 예우를 위해 명예보유자로 인정했다.
‘고성농요’는 가락이나 가사가 구성지면서도 호쾌하고 후렴구가 잘 발달했으며, 교환창과 선후창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 있다.
이번에 인정 예고된 김혜란 씨는 1980년 이수자를 거쳐 1991년 전승교육사로, 이호연 씨는 1986년 이수자를 거쳐 1996년 전승교육사로 인정되어 활동해왔으며, 최근의 보유자 인정조사에서 전승능력, 전승환경, 전수활동 기여도 등이 탁월하다고 인정받았다.
‘경기민요’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주로 불리던 전문 예능인의 노래로 1975년 7월12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경기민요의 세부 기·예능인 ‘경기12잡가’는 사설이 긴 노래라고 하여 ‘긴잡가’, 혹은 앉아 부른다 하여 ‘좌창’이라고도 부른다. 서민들의 애환을 담은 표현이 많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종목의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김혜란 씨와 이호연 씨에 대해서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한 뒤,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도자부터 서예까지…전통문화대 박물관, 기증품 특별전
- 옻나무는 어떻게 나전칠기에 쓰이는 공예재료가 되었나
- 윷놀이·해녀 등 무형문화재 전승공동체 지원 사업 선정
- 고궁박물관, 식문화 연구 위해 궁중음식문화재단과 맞손
- 무형문화재 명창들 한자리에…국악방송, 봄맞이 무료 음악회
- 강령탈춤부터 서도소리까지…봄맞이 무형문화재 공개행사
-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유영기 보유자 별세
- 부산 복천박물관, ‘코로나19 극복 기원 연날리기’ 행사
- 박재성·장철영·최상훈, 국가무형문화재 ‘나전장 보유자’ 인정
- 대여 가능한 전승공예품 한 눈에…무형유산원, 홍보책자 제작
- 다시 마주한 우리 땅…日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전시
- 왕실 장식기와의 연구 성과와 과제는…한·중·일 학술대회
- 200년 전 조선왕실 밤 잔치…21일 창경궁서 재현
- 문화재청, 국보‧보물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도난당한 불교 문화유산, 제자리로…문화재청, 조계종에 반환
- ‘조선 기록문화의 꽃’ 의궤, 실감콘텐츠로 만난다
- 사기장·매듭장의 작업, 무대 위로…서울·베를린 공연
- 천연기념물센터, ‘어린이 해설사’ 3년 만에 재개
- 동구릉 ‘비밀의 정원’ 열린다…17일 특별 개방
- 고수환·조준석·표태선 씨,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된다
- 울산 전통제철·청주 꿀벌치기 등 미래 무형유산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