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 구산동 지석묘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에서 았던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흔적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김해시와 3일 오후 이러한 발굴조사 성과를 시민들에게 알리는 현장공개를 실시했다. 발굴조사 결과, 조사구역 내에서 2007년 확인된 송국리형주거지 2동을 포함해 총 3동의 주거지와 소성유구 2기, 수혈 7기, 주혈군 등 공동생활을 한 주거집단이 남긴 취락 흔적이 확인됐다.
구산동지석묘의 축조시점이 초기 철기시대로 알려져 있음에 따라 이번에 확인된 청동기시대의 생활유적은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로 전환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앞서 문화재청은 지난해 8월 해당 유적이 정비사업 과정에서 무단으로 훼손된 것을 확인하고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김해시를 고발한 바 있다.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과 해당 건의 수사를 담당하고 있는 경남지방경찰청의 합동조사 결과에 따라 유적의 정확한 훼손범위와 깊이, 면적확인과 함께 지석묘 하부 문화층에 대한 정확한 성격파악을 위해 시행됐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전문가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훼손된 구산동 지석묘를 정비·복원하기 위해 더욱 긴밀히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500년 왕권의 상징…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보물 된다
- 문화재청,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 발족
- ‘박물관·미술관 주간’, 3일 시작…280곳서 전시·체험
- 책마을 놀러오세요…어린이책잔치, 파주서 5일 개막
- 어린이날 4대궁·종묘·왕릉 무료입장…문화 행사 ‘풍성’
- 천마총 발굴 50년 기념 ‘비전 선포식’ 개최
- 풍류에 그루브와 힙을 더하다…경복궁·덕수궁 고궁음악회
- 조선 선비들 뱃놀이 담은 ‘독서당계회도’ 보물 됐다
- 문화유산 함께 지켜요…청소년문화재지킴이 학교 23곳 선정
- 국립문화재연구원, 4개 기관과 가속질량분석기 연구 협력 맞손
- “고양 서삼릉에서 조선왕실 태실 문화 배워요”
- 어린이들이 만난 해양문화유산…공모전 수상작 전시
- 신라 군사요충지 ‘대구 팔거산성’, 사적 된다
- 문화재청-서울관광재단, 장애인 관람환경 조성 위한 M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