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은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시도기념물인 '고성 건봉사지'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승격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고성 건봉사지'는 문헌기록상 6세기경 창건되었으며 만일염불회의 발상지이자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고 있는 불교신앙의 중심도량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왕실의 원당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했고,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일으킨 곳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으며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건봉사 불이문(문화재자료)’ 부도군 등 다수의 문화유산이 현존하고 있다.
'고성 건봉사지'는 1990년 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02년부터 2020년까지 9차례에 걸친 발굴조사와 2회에 걸친 학술발표회를 통해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 고려후기 건물지까지 확인됐다.
또한 조선시대에 이르러 능파교를 기준으로 대웅전과 극락전 영역, 낙서암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 영역 내에 예불, 승방이 조성되고 이후 적멸보궁 영역이 새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고성 건봉사지'가 일반적인 조선시대 사찰배치에서 보이는 예불공간 중심의 구성이 아닌 예불공간과 승방이 균일하게 구성되어 있는 양식을 보여주었던 고려시대 다원식(多院式) 구조의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각종 역사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성과, 사역 전체에 분포하고 있는 석조유물 등을 종합하여 미루어볼 때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사지로 평가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강원도, 고성군과 협력하여 고성 건봉사지를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적극행정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국보 동궐도로 만나는 창경궁 옛 모습…3~5월 특별관람
- “역사·문화 속 이야기가 있는 경기도 관광 콘텐츠 찾습니다”
- 태종부터 추사 김정희까지…서울도서관, 온라인 역사 특강
- 인천상륙작전기념관에 미디어아트가…야간 명소화
- 문경 관음리 망댕이 가마, 국가민속문화재 된다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정부 수립 스토리·소장품 미디어아트로 공개
- 국내 가장 오래된 70년 전 '의용소방대 근무일지' 발견
- 하와이 독립운동 역사 알린다…사적지 표지판 설치 추진
- 창덕궁의 으뜸전각 ‘인정전’, 3일부터 내부 관람
- 한-캄보디아, 문화유산 협력 강화…앙코르와트 복원 '맞손'
- 광화문 앞 일제강점기 전차철로 발견…16일부터 공개
- 문화재청, '백제왕성, 풍납토성' 학술대회 개최
- 한글로 쓴 가장 오래된 편지 ‘나신걸 한글편지’ 보물 지정
- 490년 전 조선 산수화 '독서당계회도' 보물 된다
- 조선 선비들 뱃놀이 담은 ‘독서당계회도’ 보물 됐다
- 500년 왕권의 상징…조선왕조 어보・어책・교명 보물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