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이 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1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한글 관련 단체 등이 제기한 광화문 현판 한글 교체 안건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의 현판은 지난 2005년 초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친필 한글 현판을 한자 현판으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정치권과 한글 단체의 반발에 부딪친 바 있다. 이후 2010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한자 현판을 새로 공개했으나 3개월 만에 균열이 생겨 여러 차례 전문가 논의와 연구 용역을 거친 뒤 지난해 10월 현재의 현판으로 교체했다.

현재의 현판은 검은색 바탕에 금박을 입힌 글자 형태로, 경복궁을 중건하며 남긴 기록인 '영건일기'(營建日記)와 사진 자료를 토대로 제작됐다.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최 청장은 이날 국정감사 자리에서 이 같은 현판 제작 과정을 거론하며 "현판은 1865∼1868년 경복궁을 중건했을 당시 걸려 있던 현판에 가깝게 고증해야 한다는 게 문화유산 복원의 원칙에 맞는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동안의 과정과 제작 비용 등을 본다면 (현판 제작을 둘러싼) 다사다난한 과정이 다시 시작되는 것에 반대하는 것"이라며 "충분한 국민적 논의와 의견을 통해 개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최 청장은 10년가량 행방이 묘연한 국보급 문화유산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에 대해 "정상적인 소장으로 보기 어렵다"며 "(반환을 위한) 협상 진척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상주본은 경상북도 상주의 고서적 수집 판매상이 2008년 서울 간송미술관 소장품인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간송본)과 다른 해례본을 찾아냈다며 공개했으나, 구체적 소장처를 밝히지 않은 상태다. 국가유산청은 이에 대해 2012년 원래 소유자였던 골동품 업자 故 조용훈 씨로부터 기증받았음을 근거로 소유권을 주장하며 반환을 요청 중이다.

최 청장은 압수수색 등 강제절차 시의 반발 가능성을 거론하며 "중간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세워서 (논의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청장은 이와 함께 미국 보스턴미술관이 소장 중인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에 대해 "(국내로 들어온 사리와 더불어) 사리구 반환도 계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사리구와 사리 일괄 환수를 추진하던 국가유산청이 지난해 반환 협상을 촉구한 김건희 여사를 의식해 입장을 바꾼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원칙이 바뀐 게 아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