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 이하영 기자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 이하영 기자

참여연대 등 소비자·시민사회단체는 26일 멀티플렉스 3사(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를 상대로 이들이 티켓값 담합 및 폭리를 취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이날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이들 시민단체는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기자회견은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경제팀장, 김재희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실행위원, 추은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민생경제위원회 변호사, 이하영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운영위원,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 등이 참석했다.

시민단체는 3사가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 459곳 중 449곳(97.8%)에 달하는 과점사업자이며,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영화표 가격을 3차례에 걸쳐 조직적으로 1~2개월 동안 올려 담합했다고 주장했다. CGV의 선제적 가격 인상 후 롯데시네마·메가박스가 순차적으로 푯값을 올렸으며, 그 결과 높은 가격에 관객들이 영화 관람 횟수를 줄이게 돼 한국 영화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기자회견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발언문(김 실행위원 대독) △이 운영위원 연대발언 △공정위 신고 취지 및 내용 △티켓값 담합 및 폭리 비판 △퍼포먼스 및 구호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김 실행위원은 "소비자는 다양하고 질 좋은 영화를 적정한 가격으로 선택해 볼 권리가 있다"며 "일부 독점사업자들이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하고 공정한 질서를 저해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영화를 외면하게 되고 그 결과 독점력이 더욱 커지는 악순환 속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상업영화를 통한 이윤 추구만 계속된다면 영화업계의 양극화는 심해지고 그 결과 영화라는 생태계는 건전성을 잃고 절멸의 길로 들어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이 운영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하영 기자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이 운영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하영 기자

이 운영위원은 연대발언에서 "관객들은 비싸진 티켓값으로 인해 관람 횟수를 줄이고, 선택과 집중으로 인해 (영화) 시장은 대박이 아니면 쪽박으로 양극화되며 영화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3사는 (문제를) 바로잡지 않고 오히려 흥행성 높은 영화에 스크린을 몰아주며 스크린 독점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운영위원은 "심지어 티켓값은 올랐으나 제작사에게 돌아가는 수익은 줄었다"며 "공정하게 분배해야 할 극장이 일명 깜깜이 정산을 통해 불공정한 분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발언했다. 이 운영위원장에 따르면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등 영화계 역시 다음 주 중 3사를 대상으로 추가 신고를 제출할 예정이다.

김 참여연대 민생경제팀 팀장은 "소비자들도 보고 싶은 영화가 있으나, 저녁 시간대에 특정 영화만 몰아주고 있어 관람할 수 없는 선택권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영화 제작자들도 (3사가) 흥행 영화에 몰아주고 있으니 영화를 내놓아도 관객들에게 선택받기 어려운 상황에 제작을 주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 가운데 추 변호사, 오른쪽 가운데 안 소장. 사진 = 이하영 기자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 가운데 추 변호사, 오른쪽 가운데 안 소장. 사진 = 이하영 기자 

추 변호사는 "3사는 2019년 이후 티켓값을 40% 상승시켰다"며 "(3사가) 판매하는 영화 티켓 가격과 소비자들이 실제로 구매하는 가격(객단가) 차가 크고, 가격 체계가 불투명하다"고 신고 취지를 설명했다.

추 변호사는 소비자별 할인 적용 방식 등에 따라 같은 티켓도 서로 다른 값에 구매하게 되고, 정산 과정도 불투명해 소비자가 실제 티켓 가격을 정확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추 변호사의 설명에 따르면 3사의 2023년 기준 평일·주말 푯값의 중간치는 1만4500원이나, 실제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평균 티켓값은 68% 가량인 9921원에 불과하다. 추 변호사는 더불어 "임대료, 관리비 등 지역 차이가 분명 존재함에도 전국적으로 같은 푯값을 책정했다"고 비판했다.

안 소장은 "소비자 입장에서 큰 돈 들이지 않고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영화"라며 "문화가 중요해진 현재, (영화가) 생존 필수품까지는 아니어도 생활 필수품까지 발전했다고 생각하는데, 그 필수품을 즐기는 데 너무나 많은 비용이 드는 것에 문제 제기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하영 운영위원, 추은혜 변호사. 사진 = 이하영 기자
26일 서울 용산구 CGV 본사 앞에서 열린 멀티플렉스 3사 공정위 신고 기자회견에서 참여자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하영 운영위원, 추은혜 변호사. 사진 = 이하영 기자

이들은 기자회견 마지막 순서로, 영화관 티켓 형태의 판넬 가격표를 뜯어내 인하된 가격으로 돌리는 퍼포먼스를 실시했다. 한편, 이번 기자회견 및 신고에 대해 CGV 관계자는 "곧 협회를 통해 입장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