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상영발전협회는 26일 참여연대 등이 단체로 제기한 '멀티플렉스 3사(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공정거래위원회 고발'에 대해 입장문을 통해 "객단가 등 제기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26일 반박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등 소비자·시민사회단체는 26일 기자회견을 열어 3사가 지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조직적으로 담합해 가격을 인상했고, 상영 수익 분배 및 티켓 가격 책정 과정도 불분명해 소비자 및 영화인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공정위에 고발했음을 밝혔다.
협회는 같은 날 입장문을 통해 "가격에 대한 결정은 철저히 각 사업자의 경영 판단 하에 진행된다"며 "영화 티켓 값이 유사한 것은 극장의 운영 형태, 판매하는 상품, 임대료나 인건비 등 손익에 반영되는 제반 비용구조 등이 유사한 사업적 특성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소비자 단체가 제기한 영화관람료 수익 정산 문제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협회는 "극장이 통신사 및 카드사 등을 통해 관객에게 할인하는 비용을 배급사에 정산하지 않고 할인 비용을 떠넘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극장은 통신사 및 카드사로부터 실제로 보전받는 금액을 배급사와 공정하게 정산, 배분 중"이라는 입장을 표했다.
협회는 실제 객단가(소비자가 표를 구매하는 비용)도 소비자 단체의 주장과 달리 티켓값에 비례해 올랐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영진위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2019년 8,444원이었던 객단가는 2023년 10,080원으로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코로나19로 인한 한국 영화 산업 위기가 현재 진행형이며 3사의 푯값 인상은 경영적으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지금 한국영화산업은 호황기였던 팬데믹 이전에 비해 60% 가량 밖에 회복하지 못했고,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한 영화들이 많아지며, 투자를 받지 못해 영화를 제작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극장도 영화산업 정상화를 위해 투자·제작·배급사와 함께 극장이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가겠다"며, "극장과 배급사 간의 건강한 마케팅 활동이 위축되고 이로 인해 관객 할인 혜택이 감소하는 등 부정적인 연쇄 영향으로 영화산업이 더욱 침체될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 "티켓값 담합했다"…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공정위 신고
- 문체부, 영진위 신임 비상임 위원 김동원 윤당아트홀 대표 임명
- 영진위, 독립영화 매칭 워크숍 '퍼스트 링크' 참여 작품 공모
- 롯데시네마, 중국·대만 청춘 로맨스 영화 기획전 개최
- 영화의전당, 야외상영회 다섯 번째 작품 '미나리' 상영
- '극장서 마주하는 창작산실' CGV·아르코, 2024 아르코 라이브 개막
- 서울 한복판의 대살굿, 영화 '파묘' 팝업 스토어 가보니
- 영진위, 어린이·청소년 체험형 교육 '너랑 봄' 참여자 모집
- 롯데시네마, 영화 '슈퍼배드 4' 개봉 기념 '슈퍼-오랜마니언' 기획전 개최
- 영진위 신임 사무국장 박덕호 사무국장 직무대행 임명
-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한국 장편 경쟁작 부산영화 2편 선정
- CGV, 세계적 거장 '라스 폰 트리에 감독전' 운영
- '티켓값 폭리' vs '통신사 할인 수익 낮아'…엇갈리는 영화표 인심
- 롯데시네마, BIFAN 개막작 '러브 라이즈 블리딩' 단독 개봉
- CGV, 가수 영탁 '2023 영탁 콘서트: 탁쇼2' 실황 단독 개봉
- CGV, 24일부터 '알리체 로르바케르' 감독전 특별 상영한다
- 롯데시네마, 20일 K리그 '전북vs울산' 생중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