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한국방송협회
사진 제공=한국방송협회

한국방송협회(회장 박민 KBS 사장·방송협회)는 14일 네이버·카카오·구글코리아·한국마이크로소프트 등 국내외 빅테크 기업에 ‘한국방송협회 회원사(39개 지상파 방송사) 저작물의 AI 학습 이용 관련 요구사항 및 AI 학습 이용 여부 확인 요청 의견서’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방송협회는 의견서에서 지상파 방송사의 뉴스콘텐츠뿐 아니라 모든 오디오, 영상 콘텐츠를 AI 학습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상 협의가 필요하다는 의사를 전했다. 올해 9월부터 회원사 법무팀, 지식재산권팀을 중심으로 TF를 꾸린 방송협회는 생성형 AI로 가속화될 기존의 광고, 저작권료 수익 구조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방송협회는 “AI는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기에 새로운 규범을 만들어야 하는 영역이지만 저작 권리자와 빅테크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접점은 반드시 존재할 것”이라며 “협회는 회신 내용에 따라 대한민국이 AI-저작권 관련 국제규범 논의를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주무부처인 문체부와 국회 등에 적절한 제도 마련 요구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소한 빅테크 기업들이 어떤 데이터를 AI에게 학습시켰는지 데이터의 출처와 내용, 취득 경로를 설명할 수 있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을 만들도록 하여, 무분별한 AI의 데이터 학습 및 AI 생성물로 인한 사회적 혼란과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