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인천시
사진 제공=인천시

인천 미추홀구 수봉산 자락에 위치한 ‘부용암 응진전’이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재가 됐다.

인천광역시는 21일 ‘부용암 응진전’을 인천시 등록문화재로 등록 고시했다고 밝혔다. 인천의 강화 정수사 법당과 강화 전등사 대웅전·약사전이 국가 보물로 지정된 사례는 있지만, 사찰 내 전각이 인천시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부용암은 비구니 사찰로 한국전쟁 때 피난민들을 위한 쉼터로 사찰을 제공했으며, 당시 많은 전쟁고아를 수용하고 돌봤다고 전해지는 곳이다. 부용암 주지 선덕스님은 “부용암은 한국전쟁 이후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천시민 128명의 시주로 건립됐고, 전쟁 직후 고아 보육사업을 전개하며 지역사회 자선사업에 공헌하는 등 인천지역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했다.

‘부용암 응진전’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8년에 건립된 건축물로 전통 건축양식에서 가장 선호하는 평면 형식보다 협소한 측면 2칸 규모로 지어졌다. 건물의 공포형식 역시 전통적인 초익공 다포방식으로 배치했으며, 지붕 서까래의 구성 역시 전면은 겹처마로 구성하고 후면은 홑처마로 구성하는 등 전통 시대의 건축구법과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목재의 공급부족 속에서 이전보다 더욱 화려한 의장이 강조되는 사회상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인천시 문화재위원회는 “‘부용암 응진전’이 건축양식과 규모, 예술적 가치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도 과거 전통 시대의 건축구법과 의장성을 계승하려 했던 흔적이 보이며, 당시 인천의 어려운 시대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동우 인천시 문화유산과장은 “‘부용암 응진전’은 한국전쟁 직후 부족한 물자와 경제적 여건 속에서 건립된 전통사찰로 당시의 시대성과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를 높게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면서 “앞으로도 근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추진하여 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키워드
#문화유산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