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경궁 숲의 경제적 가치가 2억4800만원인 것으로 평가됐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지난 7일 ‘창경궁숲의 환경가치 발굴 및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연구’를 주제로 공동 학술 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 토론회에서는 문화재청, 산림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경희대학교, 시민환경연구소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궁능숲의 문화·역사·환경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진단·평가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관리 방안을 함께 논의했다.
학술 토론회는 ▲창경궁의 역사문화적 가치(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이선 교수) ▲창경궁 수목의 환경 경제적 평가(국립산림과학원, 박찬열 박사) ▲도시에서 이산화탄소 관측의 중요성(서울대학교, 정수종 교수) ▲탄소흡수원으로 도시 토양의 중요성(경희대학교, 유가영 교수) 등 4개 주제 발표와 참가자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날 학술 토론회에서는 대기오염물질 저감, 탄소저장 및 흡수, 홍수방지 등을 중심으로 창경궁 숲 총 10ha 조경지역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창경궁 숲이 연간 2억4800만원 이상의 경제적 가치가 있고, 1년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ha당 총 15.5톤, 대기오염물질 저감량은 1643kg으로 울창한 산림과 유사한 환경가치가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또한 각 기관과 학계 전문가들은 궁능숲은 찬바람을 도심으로 전달해 기온을 조절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으로도 매우 중요하므로 지속적인 관측 및 주기적인 수목의 건강 검진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강조했다. 문화재청은 “이번 학술 토론회를 계기로 궁능에 있는 궁궐숲의 공익 기능 평가와 관리방안에 대하여 산림청과 공동 협력하여 다가오는 기후변화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봄 맞이 궁궐 야경 나들이…‘창덕궁 달빛기행’ 13일 시작
- 한복 전시부터 모란 심기 체험까지…창경궁 문화행사
- 천마총 발굴했던 그날의 이야기…50주년 특별 좌담회
- ‘고종의 서재’ 집옥재 개방…경복궁·덕수궁, 봄맞이 문화 행사
- ‘금동보살입상’, 5년만에 금빛 광채로…보존 과정 공개
- 궁중 새내기 되어 시간여행 떠나볼까
- 일본서 환수한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30일 첫 공개
- 불 밝힌 왕의 집무실…창덕궁 희정당 야간관람 행사
- 복숭아꽃에 담긴 정조의 효심…창경궁 어버이날 행사
- 동학농민군 활동 담긴 ‘갑오군정실기’ 문화재 된다
- 현존 최고 금속활자 ‘직지’, 반세기 만에 실물 공개
- 신라 고분 발굴 100년의 역사…‘대담신라’ 19일 개최
- 산촌 활성화 방안은?…국립산림과학원 릴레이 세미나
- 영남 3대 양반촌 ‘칠곡 매원마을’ 문화재 된다
- ‘임도’의 새 이름을 지어주세요
- 창경궁 명칭 환원 40주년…퍼레이드·공연·전시 기념행사
- ‘궁패스’로 5대궁 무제한 관람…‘궁중문화축전’ 29일 개막
- 조선 세자빈의 첫 인사 ‘묘현례’, 창작극으로 만난다
- 산림청-유엔환경계획, 산림협력 양해각서 체결
- 산림레포츠, 레일바이크·서바이벌 게임 만족도 높아
- 산림청, 문학인과 함께하는 나무 심기 행사 개최
- 국립수목원, 어린이날 기념 ‘곤충학자 다이어리’ 특별전시
- “전국 100대 명품숲, 국민이 추천해 주세요“
- 지리산 모티브 ‘한국정원’, 영국 첼시 플라워쇼 금상 수상
- “정원으로 휴가 오세요” 산림청, 전국 ‘정원 지도’ 배포
- 국립산림과학원, 전통한지의 닥섬유 배열 차이 구명
- 전통문화산업 진흥법 제정…문체부 “체계적 육성 기반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