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새로운 문화 디지털혁신을 위해 예산을 두배로 확대한다.
28일 문체부는 전병극 제1차관 주재로 ‘문화디지털신대륙협의회’를 개최하고, ‘새로운 가치와 경험이 있는 디지털 문화 일상’을 통해 문화매력국가를 실현하기 위한 ‘제1차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 2025’를 확정 발표했다.
앞서 문체부는 최초의 디지털 전략인 ‘문화 디지털혁신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국민 대상 의견수렴을 두 차례 진행하고 문화 디지털혁신 포럼, 산업계·학계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각계 의견을 취합했다. 또한 문체부 MZ드리머스(2030자문단) 등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MZ세대의 의견을 청취하고, 디지털 혁신역량 수준 진단 등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문체부는 3년간 디지털 융·복합 인재 6만6000명을 양성·발굴하고, 문화‧관광‧스포츠 분야 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실감형, 메타버스 콘텐츠 창작 활성화를 위한 웹툰, 드라마, 전래동화 등 디지털 원천자원과 AI 활용에 필요한 한국어 말뭉치 130여 종 등 디지털 문화자원 40만여 건을 개방하고, 문화기술 연구개발(R&D) 예산도 현재 1300억원에서 2025년까지 4600억원으로 확대한다.
도심 속에서 실감형 미디어아트를 체험하는 K-컬처스퀘어, 박물관 VR 수장고 체험 등 문화시설을 활용한 융·복합 실감 체험 서비스도 확대한다. 이동 및 소통 취약계층을 위해 문화시설 내에서 이동과 해설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탑승형 문화해설 로봇을 현재 23대에서 80대로 늘리고, 로봇이 제공하는 수어 및 다국어 콘텐츠도 22만 건에서 50만 건으로 확대한다. 문체부 소속·공공기관 누리집 68개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누리집의 정보를 점자파일로 제공하는 점자 서비스도 선제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조직문화도 새롭게 바꿔나간다. 새로운 장르와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제도를 마련하고, 챗GPT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효율적 업무환경을 조성한다. OTT를 통한 콘텐츠 확산, 대체불가토큰(NFT) 기반 거래 확대, AI 학습 등 기술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저작권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하고 지능형 보안관제 시스템 고도화 등 사이버 안전을 강화하는 한편 AI 기술을 내부 행정업무에 활용할 예정이다.
문체부는 이번 1차 기본계획을 위해 2025년까지 전체예산 대비 디지털 및 문화기술 연구개발(R&D) 예산을 현재 8%(5400억원)이내에서 10%이상(1조1000억원)으로 확대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수립하고, 관계기관과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전병극 차관은 “디지털 신기술을 문화 분야의 창작과 향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문체부의 첫 디지털 전략이다. 디지털 기술이 K-컬처가 한 단계 더 발전해 세계로 확산하는 디딤돌이 되고, 취약계층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약자 프렌들리 정책의 비장의 무기가 될 수 있도록 짜임새 있게 뒷받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검정고무신’ 대책위 “표준계약서 개정, 만화계 목소리 반영해야”
- 문체부, 美 스미소니언과 MOU…한·미 문화기관 최초
- 3월 외국인 관광객, 코로나19 이후 가장 큰 폭 상승
- 대한민국 바로알림단 15기 출범…잘못된 韓 정보 바로잡는다
- 청와대 '외국인 관람객' 증가세…현장 발권 2배 늘린다
- 문체부 “넷플릭스 3조 투자, 일자리 6.8만개 창출 효과”
- ‘동아시아 문화도시’ 전주, 26일 개막식…中·日과 문화 교류
- K-콘텐츠 저작권 보호 위한 집행담당자 회의…10개국 참여
- 관광업계 한자리에…K-관광 대표상품 개발한다
- 찾아가는 저작권 교육…불공정 계약 방지 나선다
- 문체부·관광공사, 전통한옥 브랜드화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제2의 이승기 사태 막는다…“엔터사 회계 의무 공개”
- 줄다리기·판소리·탈춤…주한외국인 문화유산 탐방
- ‘몸값’, 칸 시리즈 각본상…韓 드라마 최초
- ‘가짜뉴스 OUT’…문체부 “AI 활용 시스템 개발”
- 문체부,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 11명 위촉
- 1000석 이상 공연장 방화막 설치해야…공연법 개정안 4일 시행
- 문체부, 저작권법 융합인재 300명 양성…110억 투입
- ‘박물관·미술관 주간’, 3일 시작…280곳서 전시·체험
- 서울생활사박물관, ‘방학숙제 언제 다 하지?’ 체험 전시
- “관광객 3000만명 목표”…문체부, 관광수출 부서 신설
- 함금자·손민영 등 ‘자랑스런 박물관인상’ 수상
- ‘인앱 수수료’ 내년 5월까지 PC 기준 정산…문체부, 개정안 승인
- 음원 저작권료 상생안 시행에 음원업계 “환영”
- SBS 문화재단, 드라마 극본공모 당선작 9편 선정
- 세종학당재단-KOTRA, 한국어·한국문화 확산 위해 맞손
- ‘국내 최초’ 야구박물관, 부산 건립 본격화…26년 개관 목표
- 한국만화가협회, ‘저작권 보호’ 주제 단편 웹툰 공모전
- ‘다양한 가치, 다함께 같이’…문체부, ‘문화다양성 주간’ 개최
- “불법 웹툰 그만!”…작가 60명, 저작권 보호 캠페인 나선다
- 문체부, 드라마·예능 등 34편에 후반작업 지원…245억 투자
- ‘K-콘텐츠 불법유통 OUT’…亞 7개국과 수사 공조 강화
- 넷플릭스·티빙 등 7개사,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지정
- 웹툰 해외 진출 지원 방안은…8차 콘텐츠 수출대책회의
- 문체부, ‘농아인의 날’ 맞아 수어 통역 엠블럼 제작
- 경기도, 문화기술 콘텐츠 유통 지원…5개사에 2500만원씩
- 웹툰 ‘요괴’, 드라마로 제작…中 플랫폼 콰이콴서 연재
- 중동에 韓문화 알린다…세종학당재단-UAE 샤르자 ‘맞손’
- 문체부, 저작권 교육 확대…“제2의 검정고무신 사태 방지”
- “영화 ‘미나리’, 수어로 즐겨요”…수어영화축제 첫선
- 세종학당 350개소로 확대…문체부, 한국어 세계화 전략 발표
-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미래는…29일 ‘디지털혁신 포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