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제공=문화재청
사진 제공=문화재청

이순신 장군의 전사 장면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경자 대통력(庚子大統曆)’이 일반에 공개된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4월28일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을 맞아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28일까지 과학문화 상설전시실에서 ‘경자 대통력’을 선보인다.

‘경자 대통력’은 1600년(경자년)의 달력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역서(曆書)로 지난해 9월 국내로 환수돼 11월에 언론에 공개된 유물이다.

임진왜란기 군사 전략가로서 활약한 서애 류성룡(1542~1607년)이 직접 사용하였던 것으로, 월‧일‧절기 등을 표기한 인쇄본 위에 그날의 날씨, 일정, 약속, 병세와 처방 등 손수 적은 다양한 기록이 남아 있다. 류성룡의 일상뿐 아니라 선조 비 의인왕후(1555~1600년)의 사망, 임진왜란 때 포로로 일본에 갔던 강항(1567~1618년)의 귀국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이 유물의 표지에는 임진왜란 때 이순신(1545~1598년) 장군이 부하 장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직접 전장에 임해 전쟁을 독려하였다가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하게 된 당시 상황이 묘사되어 있다. 이번에 전시되는 대통력에 남아 있는 류성룡의 기록 전체 내용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