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문화재 발굴 현장. 사진 제공=서울시
매장문화재 발굴 현장. 사진 제공=서울시

광화문 앞에서 발견된 일제강점기 전차철로가 시민에 공개된다.

서울시와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현장을 공개한다고 6일 밝혔다.

전차 철로는 1917년부터 1966년까지 존재했던 것으로 광화문 월대의 동·서편에서 ‘와이(Y)’자형으로 만나 세종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안국동의 전차 철로와 효자동의 전차 철로가 세종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2줄씩 위치하며 조성방식은 하부에 갑석을 사용한 기초를 놓고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조성했다. 침목은 70~80cm 간격을 두고 그 위에 철로를 설치했다.

또한 전차 철로 아래 70cm 깊이에서는 광화문 서편에 있는 삼군부의 외 행랑터와 의정부의 외 행랑터로 추정되는 건물지를 발굴했다. 외행랑과 관련한 유구는 잡석 줄기초와 방형의 적심 시설(대형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짐돌)로 모두 21기이다.

전차 철로 아래 약 70cm 깊이의 삼군부 행랑의 기초시설을 발굴하면서 일제가 월대와 삼군부 등 주요시설물을 훼손하고 그 위에 철로를 깔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해설 프로그램’은 16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되며 하루 3회씩 회당 30명 규모로 운영한다.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8일 오후 2시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오는 4월에는 영상도 제작할 계획이다. 광화문과 주변 역사 문화재에 대한 설명과 문헌자료, 발굴 유구의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 유구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담아 온라인에 공유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와 문화재청은 공동으로 2022년 9월부터 매장문화재 보호를 위한 발굴조사 진행과 광화문 역사광장 조성사업을 위한 월대 복원 및 주변부 정비를 병행하고 있다. 조사 규모는 경복궁 광화문 전면부 6107㎡를 대상으로 하며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부(1620㎡)를 맡았고 서울시는 월대 주변부(4487㎡)를 발굴조사 한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