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굴조사 과정에서 출토되는 인골·미라 등 중요출토자료의 체계적 조사·연구를 위한 중요출토자료 연구·보관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문화재청은 다음달 21일까지 연구·보관사업 전문기관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그간 발굴현장에서 인골·미라 등이 출토되어도 법적으로 신고 의무가 없었고, 신고를 하더라도 이와 관련된 조사·연구 비용을 건설공사 사업시행자가 부담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출토자료에 대한 정확한 신고가 이뤄지지 않아 자료 확보와 심층조사 연구 진행에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문화재청은 지난해 관련 법령을 개정하여 인골·미라 등 중요출토자료의 연구·보관을 위한 법적근거를 마련했으며, 올해 처음으로 관련 사업비 2억도 확보했다.
개정된 법률에 따라 올해부터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은 발굴조사 과정에서 미라·인골 등이 출토되면 지체 없이 문화재청의 위탁기관인 (사)한국문화유산협회에 신고해야 한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해당 출토자료에 대해 2명 이상의 관련전문가 자문 등을 고려하여 중요출토자료 여부 및 연구·보관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는데, 검토 결과 중요출토자료로 선정되면 (사)한국문화유산협회는 유형별 중요출토자료 전문기관과의 개별계약을 통해 연구·보관 등에 따른 제반비용을 지원하게 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사업을 통해 건설사업 시행자의 발굴조사 비용 부담을 줄이고, 관련 연구자는 안정적으로 학술자료를 확보해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관련연구자, 사업시행자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발굴하고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조선왕릉 봉분 규모가 점차 축소된 까닭은…연구 보고서 발간
- 국가무형문화재 ‘궁시장’ 유영기 보유자 별세
- 창경궁 관람권 디자인, 20년 만에 바꾼다
- 가야문화재연구소-함안군, ‘함안 가야리 유적’ 연구 위해 맞손
- 조선관청 '군기시' 디지털 복원…메타버스 앱으로 만난다
- 덕적도 해양문화유산, 다큐·학술보고서로 만난다
- 1원짜리 참기름병이 국보된 사연…문화유산 발굴 이야기
- 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 완료…박물관서 만난다
- 국립문화재연구원, 日 카시하라고고학연구소와 업무 약정
- 창덕궁의 으뜸전각 ‘인정전’, 3일부터 내부 관람
- 한-캄보디아, 문화유산 협력 강화…앙코르와트 복원 '맞손'
- 국립문화재연구원, 4개 기관과 가속질량분석기 연구 협력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