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덕궁관리소가 오는 3일부터 4월30일까지 매주 금‧토‧일요일 오전 10시30분에 창덕궁의 으뜸전각인 인정전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궁궐 내 관원들의 업무공간인 궐내각사를 둘러보는 심화해설 프로그램인 ‘창덕궁 깊이보기, 궐내각사’에 포함된 이번 인정전 내부관람은 창덕궁 해설 자원봉사단체인 ‘한국의재발견’ 및 ‘우리문화숨결’ 해설사의 인솔로 진행된다. 평소 밖에서만 볼 수 있었던 인정전 내부시설을 더 가까이에서 감상할 수 있게 됐다.
국보로 지정된 인정전은 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의 접견 등 중요하고 공식적인 의식을 치르던 곳이다. 높은 천장을 받들고 있는 중층 건물로 외관은 2층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위아래가 트인 통층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화려하고 높은 천장 중앙에는 단을 높여 구름 사이로 두 마리의 봉황 목조각이 달려있어 으뜸 공간으로서의 권위를 극대화한 공간이다.
인정전 안쪽 깊숙이에는 임금의 자리인 어좌(御座)가 마련되어 있고 그 뒤로는 임금이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해와 달 그리고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진 일월오봉도가 있다.
1907년 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 후 인정전을 수리하면서 전등, 유리창, 커튼이 새로 설치되고, 실내바닥이 전돌(흙으로 구워 만든 벽돌)에서 마루로 바뀌는 등 근대적인 요소가 가미된 전환기의 궁궐 모습도 간직하고 있다.
문화유산 보호와 쾌적한 관람 환경을 위하여 회당 입장인원은 20명으로 한정한다. 우천 시 인정전 내부관람은 취소되지만 ‘창덕궁 깊이보기, 궐내각사’ 심화해설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참가비는 무료다.
- 국립문화재연구원, 日 카시하라고고학연구소와 업무 약정
- 조선시대 왕실 원당 '고성 건봉사지' 사적 지정
- 국보 동궐도로 만나는 창경궁 옛 모습…3~5월 특별관람
- 국보 안동 하회탈·병산탈 보존처리 완료…박물관서 만난다
- 경주문화재연구소, 불교중앙박물관-불교문화재연구소와 MOU
- 발굴조사서 나온 인골·미라도 연구·보관…사업 본격 추진
- 광화문 앞 일제강점기 전차철로 발견…16일부터 공개
- 문화재청, '백제왕성, 풍납토성' 학술대회 개최
- ‘문화유산채널’ 새 단장…키워드 연관 검색 도입
- 봄을 품은 낙선재…창덕궁·덕수궁, 특별 관람 프로 운영
- 불 밝힌 왕의 집무실…창덕궁 희정당 야간관람 행사
- “국보 동궐도 속 창덕궁 나무 보러 오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