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사태로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자 정부와 금융당국이 자금 지원에 나선다. 50조원이 넘는 재원 투입이 시장 안정에 유효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 효과를 두고 금융권에서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구체적인 사용처, 규모와 함께 정부 개입이 있는 만큼 빠르게 시장이 안정될 것이란 시각과 추가 대책 없이는 불안을 잠재우기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다.

정부는 레고랜드 채무 불이행 사태로 촉발된 시장 상황 해결을 위해 50조원+α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이다.

채권시장안정펀드 20조원, 회사채·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 지원 10조원 등이다.

아울러 채권시장 경색이 레고랜드 사태로 발생한 일인 만큼 지방자치단체 보증 자산유동화기업어음은 모든 지자체가 지급보증 의무를 이행하기로 했다.

여기에 이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업유동성지원기구 재가동 조치에 대한 논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금융위는 지난 20일 시중은행 LCR 정상화를 6개월 유예했다.

KB증권 정대호 연구원은 “50조원 이상으로 확대 조정된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을 단기금융시장 불안 해소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 지원책은 코로나19 당시 존재한 프로세스를 연장하는 데 그쳤던 만큼 공급대상이 비금융권으로 넓어져 직접적인 공급을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긍정적 효과를 낼 것이라는 판단이다.

실제로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건설주와 증권주가 상승세를 탔다. 정부가 적극적인 개입 의사를 밝히자 투자 심리가 되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개입 효과는 단기적이라는 시선도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를 비롯해 주요국 중앙은행은 물론 한국은행이 추가적인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효과가 미온적일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대신증권 공동락 연구원은 “자금 경색은 시중금리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글로벌 유동성 축소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화투자증권 김성수 연구원은 “은행채 금리 상승, 동일 등급 회사채 스프레드 축소 추세 전환, 중앙은행 긴축 기조는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당분간 크레딧 시장 온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행동을 원하는 시장에 빠르게 대응한 만큼 단기적 투자심리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판단”이라며 “그럼에도 한국은행이 변하지 않았기에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이 단기적 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본 금융권 관계자는 모두 자본 투입이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라고 짚었다.

김 연구원은 "크레딧 투심 악화, 주요국 금융 불안의 진원지는 물가"라며 "물가 억제를 위한 강한 긴축 기조의 여파가 일련의 변동성을 키웠고 미국 물가는 중앙은행의 제어가 가능한 수요 측면 압력이 확대 중"이라며 제어할 수 있는 공급 물가 압력이 확대 중인 만큼 연준의 스탠스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단순히 국내 시장만이 문제가 아니라 금융시장을 둘러싼 상황이 안좋다”며 “건전성이 좋다고 해도 당분간은 리스크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전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