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 사진=콜마비앤에이치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 사진=콜마비앤에이치

콜마비앤에이치 윤여원 대표가 지주사 콜마홀딩스의 비판에 "사실관계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며 공식 반박에 나섰다. 앞서 콜마홀딩스는 콜마비앤에이치의 수년간 실적 부진과 경영 전략 부재를 지적하며, 자회사를 생명과학 중심의 핵심 계열사로 리포지셔닝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콜마비앤에이치는 7일 입장문을 내고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경기 침체 속에서도 실적 성장을 이어왔다"며 "지난해에는 연결 기준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615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윤여원 대표가 단독 대표로 취임한 첫 해의 성과로, 실적 부진을 이유로 한 경영 교체 주장은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콜마비앤에이치는 그룹 내 화장품 사업이 부진했던 2018~2021년에도 가장 높은 외형 성장과 수익성을 달성한 계열사였으며, 당시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에게 퇴진 책임을 묻는 일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윤 대표 측은 "수익성이 흔들릴 때마다 경영진 교체를 주장하면 장기 전략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룹 지주사인 콜마홀딩스가 수년간 사업 전략과 의사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으며, 독립적인 경영체제가 아니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윤 대표 측은 "신사업 제안과 투자 계획은 대부분 지주사 차원에서 반려됐고, 현재 지적받는 콜마생활건강 역시 그룹 컨펌을 거쳐 시작된 사업"이라고 반박했다.

B2B사업을 하는 ODM기업들이 시장과 소비자 흐름을 읽기 위해 당연히 B2C사업의 노하우가 필요하고 이는 ODM기업들이 대부분 적자를 감안하더라도 B2C사업을 운영하는 이유인데, 이를 사업실패로만 판단하는 것은 근시안적인 시각이라는 설명이다.

윤여원 대표는 최근 원료 포트폴리오 개선, R&D 인프라 강화, 조직 효율화 등 체질 개선에 집중해왔으며, 올해 4~5월 연속으로 월 영업이익 36억원을 달성하는 등 수익성 회복세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경영계획에선 매출 6350억원, 영업이익 320억원, 영업이익률 5%를 제시하며 실적 반등을 자신했다.

윤 대표는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심려를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린다"며 "콜마 창업주의 철학인 우보천리를 되새기며 흔들림 없이 책임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은 지난 5월 장남 윤상현 부회장을 상대로 콜마홀딩스 지분 460만주에 증여계약 해제를 주장하며 반환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지난달 27일 윤 부회장이 해당 주식을 임의 처분하지 못하도록 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

저작권자 © 뉴스저널리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